본 연구는 제주에 생성환경으로 인해 도예용 점토로 사용이 어려운 화산회토(사질토)를 중심으로 소지(素地)개발 실험을 진행하여 제주적인 색채와 질감 표현이 가능한 소지(素地)를 개발하여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제주는 한반도에서 남쪽으로 약 90km 떨어진 곳에 위치하고 면적은 1,848㎢에 이르며, 여러차례 화산폭발에 의해 형성된 화산섬이다. 화산폭발 분출시기와 지리적 환경은 제주점토에 있어 지역별로 그 성분과 특성이 다르게 나타나는 원인으로 작용한다. 전체 토양 중 70%가 화산회토이고, 30%가 비화산회토로 구성되어 있다. 비화산회토인 30% 정도만이 도예작업에 활용가능하며, 현재 서귀포시 대정읍 지역에서 양질의 점토가 채취되어 옹기작업에 사용되어지고 있다. 하지만 점토의 채취 수급과정이 매우 어려워 가격이 비싸고 경쟁력이 낮다. 제주에 도예업체들의 원료수급은 보편적인 점토인 백색자기토, 분청토, 산청토 등을 중심으로 내륙지방에 재료상을 통해 수입하여 사용하고 있다. 이런 이유로 인해 제주의 도예작업이 특징적이지 않고 독특하지 못하는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재료는 도자작업에 있어 제품의 질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이며, 그 중에서 점토는 더욱 그러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제주에 생성환경을 고려하여 화산회토 중 해안지역에 분포하고 있는 사질토(沙質土)를 연구대상으로 하여 다음과 같은 과정을 거쳐 도예용 점토로서의 가능성과 제주적 색채표현이 가능한 소지를 개발하여 제시하였다. 점토실험은 제주 해안 지역에 분포하고 있는 사질토(沙質土) 중 시료(試料)를 선정·채취하여 일정한 입자상태로 만드는 과정을 거친 후 기본점토(백자. 분청, 산청)에 비율변화를 주어 소지시편을 제작하는 과정으로 진행하였다. 소성과정은 온도에 따른 색상 및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1150℃-1170℃까지 1190℃, 1210℃-1240℃까지 10℃간격으로 총8회 진행하였다. 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소성(燒成)온도에 따른 용융(熔融)상태와 색채 특성을 분석하여 최적의 용융온도와 점토를 도출하고 정리하였다. 제주 해안 사질토를 이용한 점토는 대체로 검은 반점형태를 보였으며, 1230℃의 광치기와 쇠소깍의 사질토 백자시편에서 제주특성이 반영된 좋은 결과가 나타났다. 이는 지리적으로 남쪽지역에 위치하고 있어 화산섬 고유의 특징이 잘 보존되고 반영된 결과이며, 사질토 속에 철분(Fe2O3)이 자연스럽게 녹아 흘러 결정형태를 보이는 독특한 특징이 나타난 것이다. 개발한 소지는 첨가 정도의 따라 다양한 색상변화를 유도할 수 있으며, 도예작업에 있어 새로움을 줄 수 있는 출발이 될 수 있다. 화학적 재료가 아닌 지역이 가진 재료를 통해 점토를 개발한 점과 지역적 특수성을 보여 준 점은 본 연구의 성과이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volcanic ash soil which is known as the inadequate clay for making pottery, and present a new pottery clay which can be used for expressing Jeju color and peculiarity. Jeju located in the Southern area is a volcanic island, which is 90km away from the Korean Peninsula. Its area is 1,848㎢. The volcanic eruption and its geographical environment is different from areas and thus, the local clay and its ingredience are different from several areas in Jeju. Seventy percent of the whole soil is volcanic ash soil and thirty percent is non-volcanic ash soil. Only non-volcanic ash soil is used for making pottery. The soil of Daejung area in Seogwiposi is good quality clay of non-volcanic ash soil, which is usually utilized in making onggi. However, the process of collecting the non-volcanic ash soil is difficult, and the price is high, which makes the soil uncompetitive. People engaged in Jeju pottery industry usually use general soils such as white porcelain soil, grayish-blue soil, and sanchung soil, which are imported from the inner zone, for making pottery. For this reason, making a pottery cannot be distinguishing and unique. The clay for making pottery is very crucial, which is the important element for determining the quality of pottery. This study examined the volcanic ash soil around the coast of Jeju, considering the formation process of Jeju island, and presented several clays which could be used for expressing Jeju peculiar color and peculiarity and for making Jeju pottery. I collected some samples among the volcanic ash soil around the coast in Jeju for the experiment of the clay and made them into regular particles, and changed a little bit basic clays such as whithe porcelain soil, grayish-blue soil, sanchung soil into a new clay for making pottery. The change of temperature ranges from 1150 ℃ to 1240℃ at intervals of 10℃, which is eight times conducted. I analyzed melting point and the color of the clay in terms of the firing temperature, based on the experiment result, and found out the best adequate melting temperature and the best pottery clay. I also found out that the clay using the volcanic ash soil is usually black spotted, and I got a good quality of pottery showing Jeju peculiar color when I polished the pottery at 1230℃ using the volcanic ash soil in Seshokak. That’s because the soil in Seshokak, which is located in southern area of Jeju, contains crystalline irons and thus shows Jeju volcanic characteristics. The pottery clay which I have developed can be usefully used for giving variety to its color in pottery. It was a new start point in pottery art to me. The good result is that I developed natural pottery clay, not chemical clays and I tried to show the local peculiarity through the pottery clay which I made.
개요
Abstract
Ⅰ. 서론
Ⅱ. 제주 사질토(沙質土)에 관한 고찰
Ⅲ. 소지(素地)개발
Ⅳ. 실험결과 분석
Ⅴ.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