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은 한국조선왕조시기의 백자 작품을 대상으로 하여 동방전통미학사상중에 유명한 유가미학사상을 연구시각으로 한다. 또 본 논문은 유가미학사상과 조선백자에 대한 논술을 통해 유가의 전형적 미학사상을 결합하여 그 미학사상이 조선백자작품에 나타난 역할을 구체적으로 분석하였다. 조선 백자작품의 심미연구에 있어 더 유익한 이론적 참고를 제공하였고 동시에 한국 도자기예술사업의 혁신과 발전에도 도움이 되었다. 본 논문 중에 드는 모든 실례는 모두 조선백자 중에 대표적인 우수 작품이다. 전통유가사상을 철학기초로 삼은 유가미학사상은 중국에서 기원하며 일찍이 서기 1세기 전에 벌써 조선반도에 전래되어 조선반도의 정치, 윤리 그리고 예의에 큰 영향을 끼친다. 조선백자는 조선왕조의 정치, 생활 그리고 문화의 캐리어로서 유가미학사상이 기물의 창작 및 설계에 반영된 직접적인 표현이다. 조선백자작품에 나타난 유가미학사상에 대해 다음과 같이 세부분으로 나뉘어 연구한다. 첫째, 유가미학사상이 조선반도로의 전파와 발전의 역사 및 유가미학사상에 대한 연구. 둘째, 조선백자의 기원과 발전 그리고 조선백자의 특징에 대한 연구. 셋째, 조선백자작품의 조형, 장식, 색깔 등 면에 나타나는 유가미학사상에 대한 연구. 조선백자작품에 나타난 유가미학사상은 다음과 같은 세부분이 있다. 첫째, 조선백자작품이 나타난 ‘진선진미’(盡善盡美)인 유가미학사상. 둘째, 조선백자작품이 나타난 ‘중화지미’(中和之美)인 유가미학사상. 셋째, 조선백자작품이 나타나 ‘천인합일’(天人合一)인 유가미학사상.
In this paper, white porcelain works of Korea Dynasty are the main study objects. The famous Confucian aesthetic thought in oriental traditional aesthetic thought is the research perspective. It summarizes Confucian aesthetic thought and Korean white porcelain, and then analyzes some related excellent white porcelain works of Korea Dynasty according to the classic Confucian aesthetic thought. To provide further theoretical reference for the aesthetic study of white porcelain works of Korea Dynasty, and it is benefit to the further innovation and development of Korean ceramic art. Korean white porcelain is a direct embodiment of the Confucian aesthetic thought in the creation and design of objects. There are three main parts of the study on the thought of Confucian Esthetics, which is expressed by the works of Korean white porcelain. First, the study on the dissemination and development history and the connotation of Confucian aesthetic thought. Second, the study on the origin and development history and characteristic of Korean white porcelain. Third, the study on the Confucian aesthetic thought that is expressed through the shape, decoration and color of some Korean white porcelain works. At the same time, there are mainly three parts, on which the thought of Confucian aesthetic is expressed by the Korean white porcelain works. First,“To reach the acme of perfection”. In Korean white porcelain works, they express as the inheritance and promotion of eastern political education, traditional culture and noble character. Second,“Beauty of neutralization”. In Korean white porcelain works, they perform as simple and clear modeling, quiet and peaceful colour, succinct and chaste decoration. Third,“Man is an integral part of nature”. In Korean white porcelain works, they exist in the way of creation by using natural things as themes, in which there are specific meanings, making metaphors of things like people, and taking advantage of a scene to express one’s emotion. 本文以韩国朝鲜王朝时期的白瓷作品为研究对象,以东方传统美学思想中著名的儒 家美学思想为研究视角。通过对儒家美学思想与朝鲜白瓷的概述,以及结合儒家经典美 学思想对其在朝鲜白瓷作品上的表现进行具体分析。从而为朝鲜白瓷作品的审美研究提 供进一步的理论参考,同时有益于韩国陶瓷艺术事业的进一步创新与发展。朝鲜白瓷作 为表现朝鲜王朝政治、生活与文化的载体,是儒家美学思想反映在器物创作与设计上的 直接体现。 对于朝鲜白瓷作品中所表现出的儒家美学思想主要从以下三个方面进行研究:第 一,对儒家美学思想在朝鲜半岛传播与发展的历史,与儒家美学思想的内涵之研究;第 二,对朝鲜白瓷的起源与发展,及朝鲜白瓷的特点之研究;第三,对朝鲜白瓷作品的造 型、装饰、色彩等方面表现出的儒家美学思想之研究。朝鲜白瓷作品中所体现出的儒家 美学思想主要有以下三个方面:第一,“尽善尽美”。在朝鲜白瓷作品中表现为对东方政 治教化、传统文化与高尚品德的传承与弘扬;第二,“中和之美”。在朝鲜白瓷作品中表 现为造型简约、明快,色彩宁静、平和,装饰简洁、朴素;第三,“天人合一”。在朝鲜 白瓷作品中表现为将传统东方文化中具有特定寓意的自然事物作为题材进行创作,以物 喻人,借景抒情。
摘要
Abstract
Ⅰ. 绪论
Ⅱ. 本论
Ⅲ. 结论
参考文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