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류의 삶과 함께 한 소금의 역사는 그 시대의 경제, 정치, 사회상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소금의 발견은 인간이 출현한 이후 기원전 6000년 중국 원정 호에서 소금 채취를 시작1)하여 인간의 생존에 반드시 필요한 생존과 식량보관에 사용해 왔던 생활필수품 이였으며 권력을 상징이었다. 또한 소금은 단순한 염분이 아니라 생명을 조화시키는 물질로 소금을 먹지 않으면 살 수가 없다. 우리 식생활과 건강에 좋은 소금을 생산하는 일야야말로 좋은 삶을 영위하기 위해서 꼭 필요한 것이다. 좋은 소금은 미네랄 함량이 월등히 높은 천일염이다. 햇빛과 바람이 익혀 주는 결정체 천일염은 생산에서 결정이 맺히기 까지 10~20일 걸린다. 이 소금을 약 1년간 간수를 빼면 염도 84~86도에 이르는 천일염2)이 만들어진다. 우리나라의 대표 발효식품은 소금에 절여 만든 김치, 젓갈, 된장, 고추장, 간장은 천일염을 섞어 만든다. 따라서 한국인들에게는 어떠한 소금을 쓰느냐에 따라 음식 맛도 다르고 건강에 미치는 영향도 다르다. 최근 전남보건환경연구원은“천일염에는 각종 미네랄이 함량이 높다고” 발표하였다.3) 그러나1950년대 전후로 산림보호를 위한 벌목금지정책으로 인해 국내 염전이었던 토지공간은 대부분 사라지고 상황을 맞게 되어 천일염은 완전히 폐지되어 소금의 민영화되기에 이르렀다. 1971년부터는 소금생산의 중단과 함께 철거되어 토지이용의 변화가 나타났다. 우리나라의 소금생산의 경우 1950년 초까지만 하더라도 해수를 가마솥에 넣어 화력을 이용하거나 또는 갯벌 흙 위에서 햇빛에 의한 해수의 증발과정을 통해 얻는 해염(海鹽)이 주를 이루었다. 가마솥에서 직접 화력을 이용하거나 농축된 함수(咸水)를 가열 하여 만드는 천일염(sundried salt)은토판 염에서 생산 되며 바닷물, 바람, 햇빛이 좋은날 갯벌 위에서 바로 걷는 소금으로 미네랄이 가장 풍부한 것으로 알려져 왔다. 지금은 작업이 까다롭고 불순물이 많아 문제가 야기되고있다. 또 요즘은 시공이 편리하고 비용이 적게 드는 장판을 까는 것이 대부분이인 염전의 문제점이다. 뜨거운 여름 햇볕 아래 수십도 까지 올라가는 온도로 수온을 감안할 때 유해한 성분이 방출된다는 것이다. 최근에는 염전 바닥재용으로 기존에 사용되던 장판 대신에 친환경바닥재인 세라믹 바닥재의 사용이 검토되고 있는 원인을 해결하기 위해 세라믹 바닥재는 타일은 일반 건축용의 타일로 표면이 미끄러워 재염 과정에서 작업자가 미끄러지는 경우가 발생되어 문제가 된다. 또한, 타일은 단단한 일반 건축물과 달리 무른 갯벌 바닥에 설치되는 경우에 충격에 취약하여 잘 깨지는 문제가 있다. 가장 큰 문제는 중금속 함량에 대한 규제가 심하지 않은 건축용이므로 염전 바닥재용으로 사용되는 경우에 중금속이 용출되어 소금에 혼입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본 연구의 염전 바닥재용 도판의 주원료의 특징은 맥반석과 황토를 포함하여 형성되므로 중금속과 같은 오염 물질의 용출이 최소화되어 품질 좋은 천일염을 생산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표면이 검은색을 띄게 되므로 햇빛 흡수량이 증가되어 천일염의 생산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황토 재질이 소성되어 형성되므로 강도가 높고 내구성이 증가되어 유지 보수에 소요되는 비용이 감소되고 생산성이 증가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주원료는 황토와 맥반석, 펄프와 벤토나이트 및 납석을 혼합하고 표면에 코팅되는 검댕 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검댕 층은 표면 전체에 형성될 수 있다. 주원료를 각각 소정 함량으로 혼합하여 원료 소지를 형성하는 혼합 공정과, 소성 가마에서 검댕이 소성기법 완료 후에 소성 가마에 검댕 생성 물질을 투입하여 도판의 표면에 검댕 층을 형성하는 검댕 층 형성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history of salt which has been an integral part of life of man kind is closely connected with the economic, political and social aspects of the relevant era. After man first appeared, salt was discovered when it was first collected in Wonjeong Lake in China aro4)und 6,000 B.C. It served as a daily necessity used to store food and absolutely necessary for the survival of mankind and was symbolic of power and authority. Salt was not only saline but also a substance that brought harmony to life as man could not live without consuming salt. The production of high quality salt that is good for our dietary life and health is what is necessary to live a good life. High quality salt includes sun-dried salt that has significantly high levels of mineral content. The crystalized, sun-dried salt produced by the sunlight and winds takes about 10 to 20 days from start of production until the formation of the crystals. After the salty water is extracted from the salt for about 1 year, sun-dried salt with salinity level of about is produced. Korea’s main fermented foods such as salted down kimchi, salted seafood, fermented soybean paste, red pepper paste and soy sauce are made by mixing it with sun-dried salt. As a result, for Koreans, the taste of food is and effects on health differs depending upon what type of salt was used to make the food. Recently, the Jeollanam-do Institute of Health and Environment announced that “there was a high content level of various minerals in sun-dried salt.” However, due to the policies prohibiting logging for forest conservancy around the 1950s, lands that were used as salt pans mostly disappeared and, due to such circumstances, production of sun-dried salt was completely discontinued and led to the privatization of salt production. Starting from 1971, salt pans were demolished with the discontinuation of salt production and led to changes in the use of the land. Up until just the early 1950s in Korea, salt was mainly produced by obtaining sea salt through the process of vaporizing sea water with sunlight shining down on the mud flat or with the use of fire power by boiling sea water in a cauldron. Sun-dried salt produced by directly using fire on a cauldron filled with sea water or by heating up condensed salt water was made on clay tablets made with mud from mud flats and it is known to be abundant with mineral content as salt that is directly collected from the mud flats on a nice day with sea water, winds and sunlight. Now, there are many issues that arise due to the complicated processes for salt production and impurities found in the salt. Nowadays, the issue also arises from salt pans that mostly use flooring that is cheap and easy to build. When considering the increase in water temperature of up to tens of degrees under the hot, summer sunlight, the flooring releases harmful substances. To resolve the cause why the use of eco-friendly ceramic flooring in substitution for flooring that was previously used for salt pans is recently being reviewed, ceramic flooring uses tiles that are generally used in construction which have a slippery surface and causes workers to slip and fall during resalinization. Furthermore, when tiles are installed on the floors of soft mud flats, unlike typical buildings with firm and solid structures, they tend to easily break as they are weak against impact. The biggest issue was that the tiles were made for construction which is not severly restricted with respect to content of heavy metals. Thus, when they are used as flooring for salt pans, it can be a problem as heavy metals can be released and mixed with the salt. The characteristics of the main raw materials for the plates used as flooring for salt pans in this study are produced by including elvan and red clay. Therefore, it has a beneficial effect in helping produce high quality sun-dried salt by minimizing the release of pollutants such as heavy metals. As the color of its surface is black,
개요
Abstract
Ⅰ. 서론
Ⅱ. 실험 방법
Ⅳ.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