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62651.jpg
KCI등재 학술저널

한ㆍ중 금구자기의 금속 성분 분석을 통한 재료특성별 적용사례와 심미안적 연구

A Study of Aesthetics and Cases per Material Characteristics Application on the Korean and Chinese Porcelain with Metal Bound Rims through Analyses of Metal - with Emphasis on the Remaining Porcelain with Metal Bound Rims in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

  • 16

금구자기는 주로 중국과 고려에서 사용하였던 자기로 구연부에 금속으로 장식 또는 보강한 것을 지칭한다. 고려 금구자기는 중국에서 유입된 금구자기의 영향을 받았으며 이후 우리나라에서도 주체적으로 제작하기 시작한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에 분석된 금구자기에 사용된 금구의 금속 성분분석을 바탕으로 금구를 재료특성별로 다르게 사용한 이유를 고문헌을 통해 추정해보고 나아가 도자기 재질에 따른 색감 차이 때문이 아닌가 생각하여 이를 심미안적 관찰로 밝혀보고자 한다. 오랜 동안 금구를 과학적 분석을 하지 않고 단지 추정만 하다가 지난 연구에서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소장 중인 한·중 금구자기 6점을 대상으로 성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황동 2점, 주석 2점, 금도금한 은 1점, 은 1점으로 다양한 재질을 사용하고 있음을 알게 되었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금속 재료특성별 사용 목적을 고문헌을 통해 추정해보았다. 금속의 위계가 ‘순금> 금도금한 은> 순은> 은도금한 동> 순동’으로 나타나는 걸로 보아 금구도 금속 재료특성별 신분 계급에 따라 차등 사용하였을 것이다. 이렇게 자기에 금구를 사용한 것은 신분에 따른 차등사용뿐만 아니라 일반적으로 구연부가 파손되기 쉬운 도자기의 단점을 고려하여 구연부를 보호하기 위함이라 생각된다. 또한 금구는 신분에 따라 재질을 달리하면서도 장식효과 즉 외면적 아름다움을 추구하였을 것이다. 기존 도자기들의 적용 사례를 보더라도 청자에는 금, 은으로 장식하고 있지만, 백자에는 금보다는 은으로 장식한 경우가 보다 더 자연스러운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이번 연구에서는 여러 종류의 도자기에 금속이 가진 고유의 색감을 적용하여 심미학적으로 가장 아름다우면서 색상이 잘 어울리는 조합을 찾아보고자 하였다. 청자의 경우 금, 은색 계열이 모두 잘 어울리지만, 백자에는 은, 주석의 백색이, 흑유자기에는 금색인 황동으로 장식하였을 때 이질감이 없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청자에 금, 은으로 백자에는 은, 주석 그리고, 흑유자기는 황동으로 장식한 것은 단순히 사용한 것이 아니라 장식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도자기 색감을 고려하여 선택적으로 사용한 것으로 본다.

The porcelain with metal bound rims refers to the high-end decorative porcelain decorated or reinforced with metal which were popular in China and the Goryeo Dynasty in Korea. The porcelain with metal bound rims from the Goryeo Dynasty was influenced by the porcelain with metal bound rims from China and later it was made using Korea’s own methods. This study is to estimate the reasons why the metal bound rims was used by different material characteristics by researching old literature, based on the previously analyzed metal components used in the porcelain with metal bound rims, and to make an aesthetic observation upon presumption that the reason was due to differences in colors by the porcelain material characteristics. For a while metal bound rims were only estimated without scientific analyses, but as a result of analyzing components in the recent research made on six units of Korean and Chinese Porcelain with metal bound rims owned by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it discovered that the porcelains used various material characteristics: brass in two units, tin in two units, silver plated with gold in one unit and silver in one unit. Based on the result and through old literature, the purpose for each metal was estimated. As the order of importance in metal was “pure gold > gold-plated silver > pure silver > silver-plated brass > pure brass,” it is believed that metal bound rims were differentiated by material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user s social class. It is also assumed that not only it marked the ranking of class but also in general, part of porcelain, such as the edge, prone to break is reinforced for protection. The material used in metal bound rims differentiated social class while it pursued decorative effects, or superficial beauty. Decorations found in the existing porcelain in Korea, such as celadon, include gold and silver, but in white porcelain, silver is more frequently used than gold for its natural look. Thus, this study is to look for aesthetically harmonious combinations by contrasting the unique color of each metal and various types of porcelain. In case of celadon, both gold and silver types go well, but in white porcelain, the white tone of silver and tin works better, and the gold tone does not look out of place on bowl with black glaze. Therefore, it appears that decorative matches between metal and porcelain, such as gold and silver on celadon; silver and tin on white porcelain, and brass on bowl with black glaze, did not merely maximize decorative effects but selectively arranged to enhance the color of each porcelain type.

개요

Abstract

Ⅰ. 서론

Ⅱ. 금구 성분 분석

Ⅲ. 자기에 따른 금구의 심미안적 연구

Ⅳ. 결론

도판 및 도표 목록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