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제주의 형성과정으로 인해 다른 표면 질감을 나타내고 있는 해안 지질의 표면질감(Texture)을 이용한 세라믹 패턴 개발을 진행하여, 제주만의 독특한 질감 표현과 도자표현의 새로운 가능성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제주도는 여러 차례 화산분출에 의해 형성된 섬으로, 풍화와 침식 작용 등에 영향으로 다양한 지질의 모습을 이루고 있는 아름다운 화산섬이다. 화산 폭발은 제주에 있어 독특한 지질형상이 존재하게 되는 배경이 되었다. 최근, 제주해안 지질 형상은 문화적으로 그 가치를 인정받고 있으며, 이와 관련한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도자 영역의 활용성을 보면 해안 지질의 질감 표현을 구멍이 있는 현무암의 표면 질감으로만 이해하고 있다. 도자표현에 있어 지질 표면 질감표현을 단순히 반복적 형태로 찍어내어 단면적인 이미지로 표현하고 있다. 이와 같은 점은 제주특성 표현의 다양성을 이루지 못하고 있는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제주 해안에 분포하고 있는 해안 지질이란 범위를 설정하고 다음과 같은 과정을 거쳐 표면질감(Texture)을 활용한 세라믹 패턴을 개발하여 제시하였다. 연구과정은 우선, 제주 생성환경에 대한 고찰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 활용할 지질 표면질감을 선정하여 질감을 찍어내는 과정을 거쳤다. 제주 해안 지질 표면 질감은 대체로 기공 형상의 강한 질감이 대부분이었고 일부에서 기공이 작고 표면의 매끄러운 질감을 발견 할 수 있었다. 둘째, 찍어낸 표면질감을 석고작업과정을 통해 1차 패턴 개발을 진행하였다. 셋째, 1차 개발한 패턴을 다양하게 재조합하는 과정으로 새로운 세라믹 패턴개발을 진행하여6개의 패턴을 제시하였다. 이 과정에서 응결속도와 기공 형상에 따른 다양한 표면질감의 강함과 약함으로 분류하여 재조합함으로서 향후, 패턴 활용성을 고려하여 진행하였다. 또한 질감의 대비와 배치 등에 의해 해안표면 질감 자체만 가지고 세라믹 패턴 개발이 가능하다는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넷째, 개발한 세라믹 패턴을 이용하여 실제 도예작용에 적용시켜봄으로서 패턴 개발을 통한 도예 작업 표현의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제주 해안 지질 표면질감을 활용하여 세라믹 패턴을 개발한 본 연구는 지질 표면 질감(Texture)만으로 세라믹 패턴 개발이 가능하다는 것을 밝힌 점, 개발한 세라믹 패턴으로 제주적인 특수성을 보여준 점, 개발 패턴의 다양한 조합과 변형을 통해 도예표현의 다양성을 모색한 점이 본 연구의 성과이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develop a ceramic pattern using the surface texture from Jeju Island, which is peculiar due to its formation process, and to express the original texture characteristics of the island, as well as the possibility for new ceramic expression. Jeju Island is a beautiful volcanic island created from numerous volcanic eruptions, and possesses various kinds of geological landscape due to weathering and erosions of the terrains. The volcanic eruptions in the past provided the background for the island to have peculiar geological features. Recently, the geological features in the island’s coast is being esteemed for its cultural value, while various studies are being conducted regarding the same. Upon examining the utilization of ceramics in such circumstances, the texture expression of coastal geology is only understood as the surface texture of basalt. In other words, the texture of the geological surface in ceramic expression is expressed only as a cross-sectional image, by simply churning out the texture of geological surface repeatedly. This is regarded as a reason why the variety of expressing the island’s characteristics cannot be achieved. Therefore, the scope of the study was set as the geology of the coast in Jeju Island, and the following process was given to suggest the development of a ceramic pattern which utilizes the original texture of Jeju Island. First, the geological textures, which are used in this study, were selected based on the discussion on the formation of Jeju Island, and were printed out. The surface textures of Jeju’s coastal area were mostly strong or rough, with pores on them. In some textures, the size of pores was small, and the surface was soft. Second, the printed textures underwent primary pattern development through plastering. Total 6 patterns were developed as a result. Third, the primarily developed patterns were recombined to develop new ceramic patterns. In this stage, the textures, were classified into either rough ones or soft ones, depending on the solidification rate and by the shape of pores, to consider the utilization of pattern in the future. Also, it was found from this stage, that the texture of coastal surface alone can be used for the development of ceramic patterns, through the contrast and arrangement of the textures obtained in this study. Fourth, by applying the developed ceramic pattern to the actual pottery, a new possibility was suggested for expressing the pottery through the development of pattern. The present study, which conducted the development of ceramic pattern by utilizing the surface texture of Jeju Island’s coast, showed that the development of ceramic pattern can be achieved by using merely the geological surface texture. Also, the study showed that the ceramic pattern developed as a result represents the uniqueness of Jeju Island. The study also tried to search the variety of ceramic expression, through numerous type of recominbation.
개요
Abstract
Ⅰ. 서론
Ⅱ. 제주 지질의 형성 과정과 특징
Ⅲ. 질감(Texture)과 패턴의 개념
Ⅳ. 세라믹 패턴 개발 및 적용
Ⅴ. 결론
도표 및 도판 목록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