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62654.jpg
KCI등재 학술저널

초등학교 역사와 연계한 도자융합교육프로그램 개발

The Development of Ceramic Convergence Educational Program Linked with Elementary School History

  • 14

창의적이고 융합적인 인재 양성에 초점을 맞춘 2009 개정 교육과정은 융합이라는 키워드를 시작으로 STEAM 교육의 개념을 도입한 교과간의 통합적 접근을 제시하고 있다. 현 학교교육에서는 국악, 영화, 연극, 공예, 사진 등의 다양한 예술분야의 교육이 진행되고 있으며, 그중 공예분야는 2009 개정 교육과정에서 필요로 하는 공예만의 통합적 속성을 가지고 있다.1) 그럼에도 불구하고 공예가 학교교육에서 보편화되지 못하고 있기 때문에 공예영역에 잠재되어 있는 무한한 교육자원들은 개발되어야 한다고 본다. 이에 본 논문은 초등학교 공예수업의 도자공예교육프로그램을 통하여 타 교과 및 다른 공예분야의 다양성을 학습하고 이해하는 과정의 융합교육프로그램 제작과 그 사례를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은 현 2009년 개정 교육과정의 정의와 공예교육의 선행 연구를 통하여 범위와 내용을 추출하고, 실행과정에서 초등사회 인물학습 이순신을 중심으로 영화 『명량』 과 공예분야의 다양한 방법을 융합하여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이순신 연계 공예교육의 적용방법은 다음과 같다. 영화 『명량』을 시작으로 이순신 장군의 생애를 함축해 보여주며, 융합공예교육의 원리를 이용한 개념을 분석한다. 이순신에 대한 위인탐구와 임진왜란과 정유재란 각각 바로알기를 통하여 스토리를 전개한다. 융합적적용으로 1차시(역사+공예), 2차시(지리+공예+디자인), 3차시(공예+역사+놀이), 4차시(공예+과학+놀이)를 기획하며, 난중일기-거북선-명량해전-전술 및 전략 등을 구체화시켜 4차시의 공예교육프로그램을 제작하고 수업에 적용하였다. 사례를 통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한지책으로 제작해본 난중일기는 전쟁의 상황을 극복하고 집필한 이순신의 정신과 기록문화로서의 가치를 되새겨 볼 수 있었다. 둘째. 지형의 원리로 설계한 거북선은 흙의 물성을 활용한 토기로 제작하여 도자공예의 다양한 기법과 원리를 체험 할 수 있었다. 셋째. 두루마리그림과 전술 놀이는 이순신의 해전을 통한 역사를 바로 읽고, 미술활동에서 멀어진 학습자들에게 놀이로 학습 할 수 있는 흥미로운 동기유발 자료가 되어주었다. 넷째. 영화 『명량』의 울돌목 재현은 우리나라 지형과 이순신의 전술을 과학적으로 이해하는 설치미술작업으로 학습자의 주체적이고 자발적인 참여를 가져왔다. 다섯째. 역사수업의 인물학습을 공예교육에 적용해본 결과 학습자의 작품제작에 흥미를 높이고, 우리문화유산을 융합적으로 적용하여 교육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학교교육에서 도자공예는 전통미술의 한 분야로 인식하고 있지만, 타 교과와 다양한 공예가 연계되면 STEAM이 아닌 현 우리나라 교육에 맞는 창의 융합형 프로그램으로 재구성 될 수 있다고 본다. 다양한 예술성과 통합적 속성을 근거로 공예는 더 이상 과거 지향적 예술이 아님을 자부하며, 본 연구를 바탕으로 학교공예교육의 연구가 지속되어 더 이상 도태되지 않는 창의적인 도자공예수업으로 거듭 나기를 희망한다.

The 2009 Revised Curriculum focusing on the cultivation of creative and convergent talent suggests the integrated approach between subjects adopting the concept of STEAM education, starting from a keyword convergence . The current school education provides education of diverse art areas like Gukak(Korean classical music), film, play, craft, and photograph, and the craft area has the integrated attributes of craft necessary to the 2009 revised curriculum.2) Nevertheless, the craft has not been universalized in school education, so that the latent infinite educational resources in craft area should be developed. Thus, this paper aims to produce a convergence educational program for the process of learning/understanding the diversity of other subjects and craft area through the ceramic craft educational program in elementary school craft lesson, and also to suggest its case. Regarding the research method, the range and contents were extracted through preceding researches on craft education and definition of the current 2009 revised curriculum. Focusing on Yi Sun-shin in the figure learning of elementary society, the program was developed by converging diverse methods of craft area and a film 『Roaring Currents』. The craft education connected to Yi Sun-shin was applied like below. Starting with a film 『Roaring Currents』, the life of admiral Yi Sun-shin is connotatively shown, and the concept using the principles of convergence craft education is analyzed. The story is developed through the research of Yi Sun-shin as a great man and correctly understanding of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and 1597. Planning the 1st session(History+Craft), 2nd sess(Geography+Craft+Design), 3rd session (Craft+History+Play), and 4th session(Craft+Science+Play) through the convergent application, the Nanjungilgi(War Diary)-Turtle Ship-Batter of Myeongnyang-Tactics & Strategies were materialized, which was used for the production/application of a craft educational program with four sessions. The conclusions based on the case are like following. First, by producing/recomposing Nanjungilgi as a hanji book, learners could learn and emulate a spirit of recording and attitude of Yi Sun-shin overcoming/writing the hardship of war. Second, The Turtle Ship designed suitable for Korean topography was used to experience the material property of soil through the production of earthenware, and also to learn techniques of ceramic craft and principles of plasticity. Third, the scroll of painting and tactic play became materials to correctly understand the history through Yi Sun-shin s naval battle, and also to motivate learners who used to be far away from art activities. Fourth, the reproduction of Uldolmok in the film 『Roaring Currents』 was led to learners independent and voluntary participation through the installation art work to scientifically understand Yi Sun-shin s tactics and Korean topography. Fifth, in the results of reflecting the history lesson that could be boring based on the figure learning to craft education, it became a chance to educationally utilize it by increasing the interest in work production and convergently applying Korean cultural heritage. Even though the ceramic craft is still perceived as a part of traditional art, if diverse crafts are connected with other subjects, it could be recomposed as creativity/convergence-type programs suitable for Korea, instead of STEAM. As the craft is not the past-oriented art any more for its diverse artistry and integrated attributes, based on this study, researches on school craft education should be continued, so that it could be reborn as creative craft lesson.

개요

Abstract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도자융합교육프로그램개발 및 사례

Ⅳ. 결론 및 제언

도표 및 그림 목록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