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실내공기에 대한 국민들의 관심과 우려가 증가되면서 건강에 대한 영향을 걱정하고 극심한 스트레스를 받게 됨으로써 여러 가지 해결책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로 인해 공기정화 식물과 그것을 담는 화분에 대한 관심이 급격히 증가되고 있다. 화분 식물 가꾸기에 있어서 관수(灌水), 시비(施肥), 온도, 공기조성 등이 주요한 생육조건들이지만 화분의 선택도 중요하다. 이것은 화분으로부터의 수분증발량이 식물의 수분요구도, 통기성 등에 영향을 크게 주기 때문이다. 현재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하고 있는 도분(陶盆)은 유공성분(盆)으로서 기벽에 공극(孔隙)이 많아서 화분내의 토양으로부터 영양분과 수분증발량을 증가시키게 되므로 식물에 적합한 화분의 선택을 고려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일상생활 속에 자리 잡아가고 있는 정원문화와 어우러진 구성체로서 기존 도분(陶盆)과 옻칠을 이용한 도태칠(陶胎漆)화분에 대한 수분증발량을 비교하여 식물을 담는 용기의 의미만이 아닌 한국의 정서와 미의식이 한데 어우러진 멋을 일상생활에서 접할 수 있도록 하여 화분의 가치를 부가하고자 한다. 옻칠기법의 도태칠(陶胎漆)은 흙으로 성형 · 건조하여 800℃~1250℃에서 초벌 혹은 재벌소성 후 무유(無釉)도자 표면에 옻칠로 마감하는 기법을 말하며 이러한 옻칠은 천연의 재료로써 타 재료와의 접목을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어 현대도예의 장식기법으로써 다양성을 추구하며 화분의 차별화된 제작방법을 통해 작가의 정체성을 표현하는 중요한 매체 역할을 할 수 있어 공예재료로써 많은 발전 가능성을 열어주고 있다. 실험결과를 보면 도태칠(陶胎漆)화분이 도분(陶盆)에 비해 수분증발량이 옻칠 1회(초칠)에서 평균 1.84% 옻칠 2회(중칠 1회)에서 평균 2.85% 옻칠 3회(중칠 2회)에서 평균 4.24% 억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하여 옻칠을 이용한 도태칠(陶胎漆)화분이 식물의 집으로서 인간의 삶 속에서 가드닝(gardening) 문화와 함께 아름답게 공생하길 바라며 국내 화분시장에서의 새로운 가능성을 모색해보는 지속적인 연구가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As people’s interests and concerns in indoor air quality have been increased recently, they tend to get extremely stressed while worrying about the effects onto their health. Thus, it is in the situation that there is increasing the people’s demand for finding out many kinds of solutions for a good quality of indoor air. Accordingly, people’s interests in air purification plants and the related flower pots are rapidly heightened. For cultivating plants, irrigation, fertilization, temperature and composition of air, etc. are some major important growth conditions, but it is important which kinds of pots are selected, too. The reason is because the moisture evaporation volume of a flower pot makes a big effect on the required moisture level and permeability, etc. of a plant. The pottery pots that are currently used are made of porous materials, so there are many pores into the pottery body. Thus, much loss of moisture is increased and it is quick to evaporate nutrients and moisture quickly from the soil inside a po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moisture content of lacquered ceramic surface pots as a constituent of the garden culture that has been a part of contemporary life by supplementing its function with traditional pottery to add to the value of pots and present the beauty of Korean emotions and aesthetics every day and not just as containers for plants. A lacquering method is a technique for forming a pot shape with soil and drying it at 800℃~125 0℃ first and second times and then finishing with lacquer coating on the surface of the non-oiled pottery pot. Lacquer as a coating material is a natural material which can be used freely by using other kinds of materials and plays a role as an important medium expressing the identity of a writer through the differentiated production method of a pot while an artist pursues some diversity as many kinds of decoration techniques even in the modern era. Therefore, it is possible for lacquer to be developed as a handicraft material. Taking a look at the results from an experiment, it was found that the moisture evaporation of a lacquer coated pottery pot is suppressed more than that of a non-lacquered pottery pot by 1.84% on average in case of the first coating, by 2.85% on average in case of twice of coating and by 4.24% on average in case of three times of coating. As the results, it is hoped that a lacquered pot could coexist beautifully with the gardening culture in the lives of people and it is expected that some continuous studies could be made for seeking for some new possibilities in the domestic pot market.
개요
Abstract
Ⅰ. 서론
Ⅱ. 옻칠에 대한 고찰
Ⅳ. 실험재료 및 방법
Ⅳ. 실험결과 및 고찰
Ⅵ. 결론
도판 목록
도표 목록
참고 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