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호는 각 국가와 민족의 풍습과 문화 전통, 그리고 예술적 진수를 보여주면서 인류의 역사와 함께면면히 이어져 내려왔다. 인류는 자연에서 점토라는 재료를 취하여 오랫동안 축적해온 지혜와 경험으로점토를 불로 가공하고 토기로 구워내서 일상생활 속에 사용해왔다. 고대부터 시작된 다호는 점진적으로발전해 갔고, 이 과정을 통해 실용성과 아름다움을 겸비한 생활 속의 필수품이 되어왔다. 다호는 도자기 문화와 다도 문화에서 중요한 매체이며, 특히 중국에서 다호는 오랜 역사를 거쳐 차문화와 함께 다호의 형태와 장식도 지속적으로 변화되어 왔다. 오늘날에도 차를 마시는 전통은 여전히이어져 오고 있지만 다호에 대한 전통은 사라져 가고 있다. 최근의 다호는 전통의 맥을 이어오면서 현대의 예술 양식을 수용하여 점차 발전하고 있으나 다호의 고유의 문화가치라기보다는 기계와 기술이 발전되어 생산에 치중되어 있는 실정이다. 다호는 차를 마시는 단순한 역할을 떠나 인간의 마음을 정화시켜주고 정서적 안정을 주는 중요한 가치로 작용한다. 그러한 감성적, 심리적 이유로 현대 다호를 선호하는 수요 또한 서서히 증가되고 있다. 본 연구는 중국 도자 다호의 조형에 있어서 형태를 중심으로 한 분석 연구로써, 중국의 전통 다호를대상으로 다호 발전의 역사와 배경에 대한 고찰을 통해 중국의 전통 다호의 조형적 특징을 탐구하고 분석적인 관점으로 접근하고자 한다. 또한 본 연구를 위해 중국의 차 문화 및 도자 관련 문헌을 중심으로 자료를 조사하고, 세부적인 형태분석을 위해 필요에 따라 현장 연구를 통해 시대별 형태를 분석하고 체계화하고자 한다. 문헌연구를 위한 자료는 국내·외 문헌과 고대도자 도록 등의 관련분야의 다양한 선행연구 자료를 조사, 인용하였고, 현장연구는 중국의 전통 다호를 대상으로 한 지역 박물관 등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따라서 중국 도자다호의 시대적 발전과 차 문화에 있어서 다호의 형식과 변천 양식을 조사한 결과 다호는 당대부터 청대에 이르기까지 중국인의 삶과 시대적 배경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차 문화의 변천에 따라 서로 연계되어 지속적으로 변화, 발전되어 왔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로, 중국 현대다호가 전통 다호를 계승하고 향후 다호를 연구하고 개발하는데 기초자료가 되기를 기대해 본다.
A teapot has ceaselessly continued with human history, showing custom, cultural tradition, and artistic essence of each country and ethnic group. Humanity selects materials such as clay from nature, so works clay with fire by using long-accumulated wisdom and experience, and fires earthenware with clay, so uses it in everyday life. The teapot started from primitive times developed continuously, and through this process, this jar became a necessity in life with practicality and beauty. The teapot is an important media in ceramic and tea cultures, and in China, the teapot has a long history, and then form and decoration of the teapot have changed with tea culture. Today, the tradition of drinking tea still continues, but the tradition of the teapot has disappeared. In addition, letting the legacy continue, the teapot has developed by receiving a modern art form, but the real state is biased not towards inherent culture value of the teapot but towards production because machine and technology develop. The teapot not only plays a simple role to drink tea but also acts as important value purifying the human heart and giving emotional stability. In addition, the demand preferring the modern teapot has increased. Therefore, this thesis desires to access the teapot reflecting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the Chinese ceramic teapot in a generic sense by studying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the traditional teapots in China through observation of history and background of development of the teapot targeting the traditional teapots in China. In addition, This study method analyzed and systematized literature study and field research for a study of the ceramic teapot. Materials for the literature study were investigated and collected through advanced research such as domestic and foreign literatures and books. As a result of examining historic and period background of the Chinese ceramic teapot, and role and present condition of the teapot in tea culture, the teapot had developed from Tang to Qing, and has a close relation to Chinese life. In conclusion, the researcher hopes that this will be basic information to study and develop the modern teapot in China succeeds the tradition with this as a momentum. 陶瓷器承载着人类深厚的文化并伴随历史走过了千万年,体现了各个国家民族的民俗风情, 文化传统和艺术精髓.人类选取来自自然的材料—黏土,经过手制用智慧的火种烧成土器,在日 常生活中使用,从原始陶器到渐渐出现的彩陶,这种结合了实用与美的艺术已经成为人们生活 中不可缺少的部分。 茶壶是陶瓷器文化和茶道文化的重要媒介,特别是中国的茶壶在中国几千年的陶瓷文化和茶 文化的不断演进中,茶壶的形态和装饰也在不断的发生变化,它所呈现的特征正代表了所处时 代的文化及经济特征。 茶壶不再是单纯的作为茶器而是能够净化人们的心灵,给人以安定感,因此人们对现代茶壶 的需求也在慢慢增加。本研究以中国陶瓷茶壶的造型中的形态为中心,以中国古代茶壶的形态 为研究对象,深入的探究中国传统陶瓷茶壶的形态特征并加以分析。 再者为了达成本研究笔者查阅了中国茶文化和陶瓷文化的相关资料,并且为了进行细部的对 比研究也进行了现场研究,通过这样的方式对各个时代的茶壶形态进行了系统化的研究。文献 研究方面大量研究了国内外的资料书籍及现行研究,在进行特定作品的现场研究时到访各个地 域的博物馆进
摘要
Abstract
Ⅰ. 绪论
Ⅱ. 中国传统茶壶的考察
Ⅲ. 中国传统茶壶的造型分析
Ⅳ. 结论
图表·图片 目錄
参考文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