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양은 문화를 바탕으로 나타난 시각적 매개체 역할로써 예술분야에 있어 꾸준히 발전해오고 있다. 백자의 시문된 문양은 형태를 보조하는 동시에 이를 보다 돋보이게 한다. 또한 시대별 다양한 변화를 통해 시대를 구분 짓는 잣대가 되기도 한다. 이에 문양의 연구는 다양하게 이루어져왔다. 문양은 형태 위에 부가적인 장식요소로써 형태의 조형성보다 주목받지는 못하였으며, 자체의 조형성과 다양한 가능성보다 도사자적 연구의 한 부분으로 활용되고 있다. 현대 도자예술에 있어서 장식기법으로 문양은 표현을 위한 중요한 요소이다. 이를 통해 다양한 묘사의 표출이 가능하다. 본 논문은 조선 백자 속 다양한 문양들을 중 여의두문을 중심으로 그 특징을 이해하고 이를 활용한 다양한 표현방식을 살펴보았다. 여의두문은 상징적 의미와 함께 여러 방식으로 표현되어져왔으며, 동형구조적인 형과 선적인 율동감을 바탕으로 형태적인 장식 활용이 가능하다. 문양의 형상적 표현은 기존의 장식표현의 확장으로 응용되어 차별화된 표현 방법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장식적인 요소로만 사용되어지는 것이 아닌 문양 스스로가 주가 되어 여러 가지 표정의 작품 제작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현대적 활용성과 문양의 새로운 접근 방식을 통해 현시대 실용기에 접목하여 상품화를 요구하며 다양한 표현 방식에 관한 연구를 하였다.
As a visual medium based on culture, the patterns have steadily developed in the field of art. The embossed patterns of the white porcelain complement the form and make it stand out. It can also serve as a yardstick to distinguish the times through various changes of the times. This has led to a variety of research in style. As an additional decorative element on top of the form, patterns have not received much attention over form formation, and have been used as part of the Taoist study rather than their composition and variety of possibilities. With decorative techniques in modern ceramics, patterns are an important element for expression. This enables the expression of various descriptions. This article explored the various patterns in the Joseon white porcelain, focusing on the Anuruddha Head Design and examining the various expressions using them. Anuruddha Head Design has been expressed in many ways with symbolic meaning, and it is possible to use formative decoration based on the homomorphic type and the linear sense of rhythm. Geometrical representations of patterns can be applied as an extension of existing decorative representations and can be a differentiated presentation method. Therefore, the researcher wanted to study the production of works with various expressions by themselves, not by being only used as decorative elements. Based on this, various exppressions were researched by modern practicality and new approach of pattern style that required modern use.
개요
Abstract
I. 서론
II. 여의두문
III. 여의두문의 기법적용과 표현 가능성
IV. 결론
도판 및 도표 목록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