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62729.jpg
KCI등재 학술저널

<오버더떼창 : 문전본풀이>를 통해 본 판소리 합창의 양상과 의미

A Review of the Aspects and Meaning of Pansori Chorus Seen through Over the Sing along: Munjeonbonpuri

  • 106

본고는 최근 판소리 합창이라는 새로운 양식으로 공연된 <오버더떼창 : 문전본풀이>를 통해 1인창의 판소리가 ‘합창’ 으로 존재하는 양상을 분석하고 그 의미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6인의 소리꾼으로 공연된 <오버더떼창>에서 수 행된 가창의 면모를 독창, 제창, 분창, 배경창으로 나누어서 그 양상을 살펴보고, 이것의 효과를 고찰함으로써 판소리 합창의 의미와 향후 과제를 논하였다. <오버더떼창>은 판소리 창자 혼자 수행하는 독창과 다 같이 창을 부르는 제창, 그리고 사설을 나누어서 부르는 분창, 구음이 중심이 되는 배경창이 주를 이루며 공연되었다. 본고에서는 특히 <오버더떼창>의 제창을 합창 용어를 차용하여 모이는 제창과 흩어지는 제창으로 나누어서 보았고, 사설을 나누는 분창을 인원에 따른 것, 사설 단위에 따른 것 등으로 나누어서 보았다. 마지막으로 특별한 사설의 의미를 담지 않는 구음이 나온다는 점에서 사설을 나누어 부르는 분창과는 구분되는 배경창을 언급하며 <오버더떼창>에서 나오는 다양한 가창 방식을 설명하였다. 다음으로 이와 같은 합창의 면모가 어떠한 효과를 가져오는가를 세 가지로 언급하였다. 첫째, 이면의 극대화이다. <오 버더떼창>은 여러 명의 창자가 중심 서사를 각 장면과 분위기에 맞게 분창과 제창, 배경창으로 충실히 표현하여 판소리 에서 중요시되는 이면을 잘 그려냈다. 다음으로, ‘소리’의 다채로움의 극대화이다. <오버더떼창>은 자연의 소리는 물론 사물의 소리를 그대로 모사하는 판소리의 특징이 작품 곳곳에서 잘 드러났는데, 특히 배경창이 이와 같은 기능을 잘 구현하였다. 마지막으로 한 곡의 노래에서 독창과 제창, 분창, 배경창이 복합적으로 드러나는 구조를 통해 판소리 창에 대한 집중과 흥미를 배가시켰다. 다양한 가창 방식의 복합적 활용은 노래를 풍성하고 입체적으로 만들어 판소리 창에 익숙하지 않은 일반 관객도 판소리를 집중해서 감상할 수 있게 하였다. 끝으로, 본고는 <오버더떼창>이 보여준 판소리 합창이 어떠한 의미가 있는지, 향후 판소리 합창에서 무엇이 더욱 중 시되어야 하는지를 논하였다. 한 명의 창자가 판소리를 작창 및 공연하는 것은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오버더떼창>은 작창과 연출에 능한 판소리 창자가 2시간 남짓의 작품을 만들고 이를 다른 창자와 함께 부름으로써 판소리의 음악성까 지도 완성도 있게 표현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대중에게 판소리의 매력을 친숙하게 전달함으로써 판소리에 대 한 진입장벽을 낮춘 것도 합창의 양식이 보여 준 성과라 하겠다. 그러나, 한 곡의 길이가 2~3분 남짓으로 다소 짧다는 점, 독창이 부족하다는 점은 아쉽다. 한 곡에서 다양한 가창방식이 입체적으로 사용된다면 호흡이 보다 긴 판소리 음악 도 대중에게 충분히 흥미롭게 전달할 수 있을 것이다. 본고는 <오버더떼창>을 판소리 음악의 측면에서 살펴보면서 현대 판소리가 다양한 방식으로 존재할 수 있는 가능성을 드러내고, 그 의미와 과제를 이야기해보았다. 향후 판소리 합창의 의미가 대중적&#65381;학술적으로 합의된다면 창작판소리의 양식은 더욱 다채로워질 수 있을 것이고, 이에 관한 연구도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aspects and meaning of pansori (a genre of musical storytelling) presented as a chorus through Over the Sing along: Munjeonbonpuri , which was performed in a new style of pansori chorus. To this end, it examines aspects of the singing styles performed by six singers shown in Over the Sing along: Munjeonbonpuri&#8212;divided into solo, singing in unison, divided singing, and background singing&#8212;and the effects of using various singing styles in pansori performance. Over the Sing along: Munjeonbonpuri maximizes the imyeon , or reality of pansori with various singing styles as well as the diversity of sori ” (sound), among which background singing of imitating sound of nature as well as object is considered a characteristic of pansori . And the multi-faceted composition of the song drew the audience s attention to pansori . Pansori chorus is meaningful in that it can expand the base of pansori , which is performed by one singer, and enhance the musical completeness of the newly created modern pansori .

Ⅰ. 들어가며

Ⅱ. <오버더떼창 : 문전본풀이>에 구현된 판소리 합창의 양상

Ⅲ. <오버더떼창 : 문전본풀이>를 통해 본 판소리 합창의 효과

Ⅳ. 판소리 합창의 의미와 과제

Ⅴ. 나가며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