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62729.jpg
KCI등재 학술저널

북한 민족악기 새납・장새납 교측본의 내용 체계 분석 연구

A Study on the Content System Analysis of the Textbooks of North Korean National Instruments Saenap and Jangsaenap

  • 2

본 연구는 북한 민족악기 새납・장새납 교측본의 내용 체계를 분석하여 우리나라 국악기 중 태평소 교측본 개발의 기 초 연구로 활용하는 것에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북한 민족악기 새납과 장새납의 악기 개량 과정을 살펴보고, 남한의 태평소와 주법 비교를 통해 북한 새납의 음악 언어를 이해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새납・장새납 교측본 6종의 구성 체계 를 살펴보고, 그 중 새납・장새납의 이론과 연주법을 총망라하고 있는『조선민족악기총서(4) 새납』의 구성과 수록된 연습 곡의 주법 적용 양상 및 내용 체계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새납・장새납 교측본에 나타난 내용 체계는 크게 이해단계, 연습・숙련단계, 표현단계의 3단계로 구분된다. 이해단계에서는 악기 해설과 연주 기초를 다루고, 연습・숙련단계에서는 핵심주법을 분류하여 각 주법을 탐색, 연습, 숙련의 3단계로 다시 세분화하여 훈련한다. 마지막으 로 표현단계에서는 대상별・연주형태별・장르별 연주곡을 통해 음악적 표현을 확장한다. 본 연구는 새납・장새납으로 한정 하여 내용 체계를 분석하였으나 이를 토대로 다양한 민족악기 교측본의 내용 체계 분석 연구로 이어져 체계적인 국악기 교육을 위한 교수법과 교측본 개발이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ntent system of textbooks on the North Korean national instruments saenap and jangsaenap and thus use them as a basic study for the development of the textbook on the Korean traditional instrument taepyeongso. It examines the modifying process of saenap and jangsaenap and understands the musical language of saenap in North Korea by comparing its playing method with that of taepyeongso in South Korea. It also examines the composition system of six types of textbooks on saenap and jangsaenap, and among them, focuses on analyzing the composition, the application patterns of the playing method of the included exercise pieces, and the content system of Korean National Instrument Book Series (4) Saenap covering the theory and performance method of saenap and jangsaenap.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content system of the textbooks on saenap and jangsaenap is largely divided into three stages: the understanding stage, the practice and proficiency stage, and the expression stage. In the understanding stage, instrument commentary and performance basics are dealt with, and in the practice and proficiency stage, core performance methods are classified, and each performance method is subdivided into three stages: exploration, practice, and proficiency. In the final stage of expression, musical expression is expanded through performance pieces by target, performance type, and genre. This study analyzes the content system limited to saenap and jangsaenap, but based on this, it is expected that teaching methods and textbooks for systematic Korean traditional instrument education will be developed.

Ⅰ. 머리말

Ⅱ. 북한 새납・장새납의 개량과정과 주법 분석

Ⅲ. 새납・장새납 교측본의 구성과 내용 체계 분석

Ⅳ.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