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62739.jpg
KCI등재 학술저널

심미적 감성 역량기반 교육과정 실행에 대한 교사들의 경험과 인식 탐구

Teachers Experiences and Perceptions in Applying Aesthetic-Emotional Competency to Classes

DOI : 10.14333/KJTE.2022.38.2.16
  • 208

연구목적 심미적 감성 역량은 대부분 음악⋅미술⋅체육 교과에서만 한정하여 적용되는 경우가 많으며,이는 2015 개정 교육과정의 기대에는 미치지 못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심미적 감성 역량을 예체능 교과가아닌 다른 교과에 적용한 교사들을 중심으로 심미적 감성 역량의 현장 적용 경험을 분석함으로써 향후심미적 감성 역량의 현장 적용 가능성을 높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심미적 감성 역량을 예체능 교과가 아닌 교과에 적용한 총 6명의 교사를대상으로 면담을 시행, 분석하여 공통 요소를 추출하였다. 연구결과 교사들은 심미적 역량에 대해 가치를 부여하고 선배 또는 동료 교사들의 수업을 보고 시작하게되었고, 교수학습 방법으로는 학생 스스로 발견하게 하는 수업을 주로 사용하였다. 이 수업을 통해 학생들은즐거워하고 삶의 의미를 찾게 되었으나 교사들은 평가와 전문성에 대한 두려움과 한계를 느끼고 있었다. 결론 일반교과에서 심미적 감성 역량을 적용하는 교사들은 심미적 감성 역량을 넓은 의미로 해석하고활용하였으나 여전히 실행에서의 비중은 주변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의 실행을 지원하기 위해서는전문성 개발과 함께 학부모 및 교장 등의 지원이 필요하였다.

Purpose: This study aimed to analyze experiences of applying aesthetic-emotional competency toschool classes, focusing on teachers who applied aesthetic-emotional competency to subjects otherthan arts, music, and sports subjects. Methods: This study conducted interviews with a total of six teachers who applied aesthetic-emotionalcompetencies to general subjects. The data were analyzed in three areas: curriculum planning, implementation,and evaluation. Results: Teachers gave value to aesthetic-emotional competencies and started watching classes ofseniors and fellow teachers, and as a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they mainly used classes thatmade students discover themselves. Through this class, students enjoyed and found the meaning oflife, but teachers were afraid and limited in evaluation and expertise. Conclusion: Teachers who apply aesthetic-emotional competency in general subjects interpreted andutilized aesthetic-emotional competency in a broad sense, but the proportion in the implementationheader was still found to be peripheral. In order to support their implementation, support from parentsand principals was required along with professional development.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및 절차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