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체계적 문헌고찰을 통한 교양교육 연구성과 및 향후 과제

Research Trend Analysis in Liberal Arts Education: A Systematic Review of the Literature

  • 209
162764.jpg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교양교육 연구 성과를 종합적으로 고찰하고, 향후 교양교육의 활성화를 위해 후속되어야 할 연구과제를 도출할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2011년부터 2021년까지 ‘교양’을 주제로 한 논문 중 총 1,491개를 선정하여 연구자가 마련한 분석틀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른 교양교육 연구성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양교육연구는 최근 10년간 양적으로 크게 성장하였으며, 연구주제로 내용방법(63.3%)이 가장 많이 연구되었다. 내용방법 중 기초교육이 612편(54.2%)으로 가장 많이 연구되었으며, 의사소통교육 546편(89.2%), 사고교육 37편(6.0%) 등의 연구가 많았다. 소양교육을 주제로 한 연구는 신체적 체험이 149편(48.4%)으로 가장 많았으며, 인성 86편(27.9%), 진로 21편(6.8%)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지원운영을 주제로 한 연구는 질관리가 358편(67.8%)으로 가장 많았으며, 교수학습분야 143편(27.1%) 등의 순이었다. 향후 교양교육연구가 더욱 발전하기 위해서는 교양교육 영역과 관련한 전공 학회와의 지속적인 교류 및 연구활동이 필요하며, 인성, 진로 등 교양교육의 새로운 주제 연구, 교양교육 교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 교육효과성을 검토할 수 있는 성과관리 연구 등 다양한 주제의 후속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aim of comprehensively examining the research results of liberal arts education in Korea and deriving research tasks to be implemented for the revitalization of liberal arts education in the future. To this end, a total of 1,491 papers from 2011 to 2021(all of which used“liberal arts”as their theme) were used for analysis and were analyzed by an analysis framework prepared by a researcher, The research results of liberal arts education are as follows: Liberal arts education research has grown significantly over the past 10 years, and the Content Method(63.3%) has been studied the most as a research topic. Among these content methods, 612 Basic Education studies (54.2%) ranked the highest in terms of topics studied, followed by 546 in Communication Education (89.2%) and 37 in Cognitive Education(6.0%). The most common topic of study concerning the subject of literacy education was 149 in Physical Experiences (48.4%), followed by Personality 86 (27.9%) and Career 21 (6.8%). The most frequent research regarding support operation was Quality Control with 358 (67.8%), followed by 143 (27.1%) in Teaching and Learning. In order for liberal arts education research to develop further, continuous joint research activities, with various academic societies and associations in the field of liberal arts education, are required. In addition, follow-up studies involving various topics, such as research on new topics of liberal arts education pertaining to character and career, research on the professors themselves teaching liberal arts education, and performance management research to review the effectiveness of liberal arts education, should be conducted.

1. 서론

2. 연구방법

3. 연구결과

4. 결론 및 시사점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