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작을 위해 토양에 공급하는 인산질 비료가 석회석을 이용한 안정화 적용 토양에서 비소의 용출에 미치는 영향을 회분식 실험과 칼럼실험을 통해 확인하였다. 토양은 폐석탄광인 옥동, 부국 탄광 주변 경작지에서 채취하였으며, 채취한 토양의 평균 비소 농도는 20.0 mg/kg으로 나타났다. 연속추출을 통해 비소의 지구화학적 이동성이 상대적으로 높은 토양을 선택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석회석(3 wt%)과 토양을 혼합하여 안정화 적용 토양을 준비하고 농촌진흥청에서 제시한 경작지 토양 내 유효인산 기준을 바탕으로 인산질 비료(NH4H2PO4)를 토양과 혼합하였다. 이때, 석회석과 혼합하지 않은 비교토양을 준비하여 대조군으로 활용하였다. 토양으로부터 용출되는 비소의 농도는 인산질 비료의 공급량과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는 안정화 유무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용출액 내 인산염(PO4 3-)의 농도는 석회석을 혼합한 조건에서 상대적으로 낮은 결과를 보였는데, 이러한 결과는 PO43-와 석회석에서 용해된 칼슘 이온(Ca2+)의 결합침전에 의한 것으로 판단된다. 지속적으로 관개수를 공급하는 경작환경에서 인산질 비료가 비소의 용출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칼럼실험을 진행하였다. 칼럼실험 초기 10 P.V.까지는 토양으로부터 비소의 용출량이 석회석 혼합조건에서 더 적었지만 이후에는 석회석 혼합조건과 상관없이 유출수의 비소 농도가 점차 증가하였다. 칼럼실험 이후 잔류토양을 건조시켜 연속추출을 실시한 결과 안정화 조건에 상관없이 실험 전 토양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한 형태의 비소의 분율이 증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석회석을 이용하여 토양 안정화 공법을 적용하여도 경작과정에서 공급하는 인산질 비료에 의해 토양 내 비소의 지구화학적 이동도가 증가하여 안정화 효과가 감소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firm the dissolution of arsenic from the stabilized soil around abandoned coal mines by cultivation activities. Experimental soils were collected from the agricultural field around Okdong and Buguk coal mines, and the concentration of arsenic in the soil and the geochemical mobility were confirmed. The average arsenic concentration was 20 mg/kg. The soil with relatively high geochemical mobility of arsenic in the soil was used in the batch and column experiment. The limestone was mixed with soil for soil stabilization, and the mixing ratio was 3% of limestone, based on the soil weight. The phosphoric acid fertilizer (NH4H2PO4) was added to the soil to simulate a cultivation condition according to th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s rules. Comparative soil without mixing limestone was prepared and used as a control group. The arsenic extraction from soil was increased following the fertilizer mixing amount and it shows a positive relationship. The concentration of phosphate in the supernatant was relatively low under the condition of mixing limestone, which is determined to be result of binding precipitation of phosphate ions and calcium ions dissolved in limestone. Columns were set to mix phosphoric acid fertilizers and limestone corresponding to cultivation and stabilization conditions, and then the column test was conducted. The variations of arsenic extraction from the soil indicated that the stabilization was effectible until 10 P.V.; however, the stabilization effect of limestone decreased with time. Moreover, the geochemical mobility of arsenic has transformed by increasing the mobile fractions in soil compared to initial soil. Therefore, based on the arsenic extraction results, the cultivation activities using phosphoric fertilizer could induce a decrease in the stabilization effect.
1. 서론
2. 연구방법
3. 결과 및 토의
4. 결론
사사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