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62819.jpg
KCI등재 학술저널

고구려의 왕릉 조영 인식에 관한 연구

A review on the Construction Perception of Goguryeo Royal Tombs: Through the review of Goguryeo Royal Tombs located in the Ji an area

  • 23

고구려의 왕릉은 당대의 최고 권력자를 위한 무덤으로서 그 시대의 모범이 자 시대상의 기준이 되기 때문에 중요하다. 본 연구는 집안지역에 소재하는 무덤을 대상으로, 규모 및 출토유물의 검토를 통해 고구려의 왕릉으로 판단할 수 있는 무덤을 선별한 후, 그 입지적 특징을 살펴봄으로 인해 고구려인들의 왕릉 조영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기존의 선행연 구들과 달리 잔존 최소길이를 중심으로 무덤의 크기를 파악해 보았다. 그 결 과, 집안지역에 소재한 거대 무덤 중에서 3세기 이후 단계의 고구려 왕릉은 그 외형적 크기가 적어도 40m이상인 적석총들을 왕릉으로 설정할 수 있었다. 여기에 무덤의 내부시설이 가장 큰 장군총을 더한 총 9기를 집안지역에 소재 하는 고구려의 왕릉으로 확정할 수 있다. 기존에 이미 평양지역의 고구려 왕 릉으로 비정된 경신리1호 및 전(傳) 동명왕릉을 포함하더라도, 현 시점에서 고구려의 왕릉으로 볼 수 있는 무덤은 총11기에 지나지 않는다. 논란이 되고 있 는 우산992호나 우산2112호, 우산540호를 고구려의 왕릉으로 보기는 어렵고, 수릉(壽陵)제와 귀장설(歸葬說)에 입각해 26기에 이르는 대부분의 고구려 왕 릉이 집안지역에 존재한다는 견해는 인정할 수 없다. 집안지역에 있는 5곳의 고구려 무덤군 중에서도 고구려의 왕릉이 조성된 지역은 우산고분군・마선고분군・칠성산고분군에 한정되는데, 특히 엄선된 지 역을 중심으로 왕릉들이 위치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강화된 왕 권에 의한 한정된 지역의 독자적 공간 점유에 의한 결과로 파악된다. 한편, 고 구려인들은 왕릉의 입지조건으로 조망권의 확보를 중요시한 것으로 추정되는 데, 이는 국내성을 축으로 동서로 이어지는 집안공로(集安公路)를 의식해 왕 릉이 건설되었을 가능성이 상정된다. 본문에서 왕릉으로 비정한 집안지역 소 재 9기의 무덤들이 모두 집안공로에 인접해 있거나, 집안공로가 잘 조망되는 곳에 입지하고 있기 때문이다. 집안지역에서 평양지역으로 천도한 427년 이후의 고구려 왕릉은 모두 평 양지역과 그 주변 일대에서 찾을 수밖에 없다. 이때 고구려에서는 왕릉조영에 대한 의식의 변화가 발생한 것으로 추정되는데, 장제(葬祭)에 대한 개념이 새 롭게 재정립되었고, 이는 곧 적석총에서 석실봉토분으로의 묘제변화와도 연동 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The royal tomb of Goguryeo is important because it is a tomb for the most powerful people of the time and an example of the times. This study targets tombs located in Ji an areas. Through the review of the size of the tomb and excavated relics, what can be judged as Goguryeo s royal tomb is selected. After that, the purpose was to examine the Goguryeo people s perception of royal tomb contrast by examining the topographical features. Unlike previous studies, the size of the tomb was identified centering on the remaining minimum length. As a result, the size of the Goguryeo royal tomb located in Ji an area could be set to more than 40m. A total of nine tombs could be confirmed as royal tombs of Goguryeo located in the Ji an area by adding the Janggunchong (將軍塚), which has the largest internal facility of the tomb. Even if the tombs of King Gyeongsin-ri No.1(慶新里1號) and King Dongmyeong(傳 東 明王陵), which were previously determined as Goguryeo s royal tombs in Pyongyang, are included, there are only 11 tombs that can be seen as Goguryeo s royal tombs at this point. It is difficult to see controversial Usan NO.992(禹山992號), Usan NO.2112(禹山2112號) and Usan NO.540(禹 山540號) as royal tombs of Goguryeo. In addition, the view that most of the 26th Goguryeo royal tombs exist in Ji an area based on the Sureungje(壽陵制) and Gwijangseol(歸葬說) is unacceptable. The Goguryeo royal tomb was built only in the Usan(禹山) area, Maseon (麻線) area, and Chilseongsan(七星山) area among the five Goguryeo Ancient Tombs in the family area. In particular, it can be seen that the royal tomb is built around the strictly selected area. This is understood as a result of occupying an independent space in a limited area as the royal authority was strengthened. On the other hand, it is presumed that the Goguryeo people valued securing the right to view as a condition for the royal tomb. This is thought to be due to the construction of the royal tomb in consideration of the Ji angongro(集安公路) leading east-west around the domestic castle. This is because all nine tombs identified as royal tombs in the text are adjacent to the Ji angongro(集安公路) or are located in a place where the Ji angongro(集安公路) is well visible. After 427, when the royal tombs of Goguryeo were transferred from the family area to the Pyongyang(平壤) area, all of them must be found in the Pyongyang(平壤) area and its surroundings. At this time, it is estimated that a change in consciousness about building royal tombs occurred in Goguryeo. In addition, the concept of funeral service was newly reestablished. This is likely to be linked to the change of the grave from Jeokseokchong(積石塚) to Seoksilbongtobun(石室封土墳).

I. 머리말

Ⅱ. 집안소재 고구려 왕릉에 관한 선행연구

Ⅲ. 집안소재 고구려 왕릉으로 비정 가능한 무덤

Ⅳ. 고구려의 왕릉 조영 인식에 대한 추론

Ⅴ.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