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가족구조 변화와 지역공동체의 대안적 친밀성의 가능성에 관한 탐색적 연구
부산 대안가족허브센터 사례 중심
- 오영란(Young Ran Oh) 강대선(Dae Sun Kang)
- 한국NGO학회
- NGO연구
- 제16권 제3호
- 등재여부 : KCI등재
- 2021.12
- 61 - 105 (45 pages)
본 연구는 오늘날 변화하는 가족구조와 증가하는 1인 가구 등의 사회적 변화 속에서 나타나는 가족 공백에 대하여 공동체적 돌봄과 보호를 통해 대응하고자 하는 지역공동체 활동에 주목하고 지역공동체가 가족 이후의 대안적 방식으로서 어떠한 특성을 가지며, 이 과정에서 나타나는 대안적 친밀성은 어떠한 내용인가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지역공동체를 검토하면서 본 연구의 분석사례로 부산의 대안가족허브센터를 거점으로 활동하고 있는 대안가족공동체를 분석 고찰하였다. 이의 결과로 첫째, 지역공동체의 주요특성은, 함께돌봄의 돌봄공동체, 공동의 생산과 분배의 협동공동체, 관계 친화적 공동체의 3가지 특성을 살펴볼 수 있었으며, 둘째, 이 과정에서의 대안적 친밀성은 확장된 호혜성, 상호의존적 자립의 연대성, 그리고 신뢰와 우정의 친밀성의 성격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내용을 토대로 지역공동체의 대안적 친밀성의 지속가능성을 위한 공공 영역으로의 확장성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how local community activities respond through community care and protection to the family void that appears in today s changing family structure and social changes, such as the increasing number of single-person households. It intended to explore its characteristics while examining various local communities appearing in previous studies. Alternative family community active in Busan’s Alternative Family Hub Center was analyzed and considered as an analysis case of this study. As a result of this, first, the local community’s main characteristics were three characteristics: a caring community of ‘caring with’, a cooperative community of common production and distribution, and a relationship-friendly community. Second, the alternative intimacy showed characteristics of extended mutual reciprocity, the solidarity of interdependent independence, and intimacy of trust and friendship. Based on these contents, this study discussed the extension to the public sphere for the sustainability of alternative intimacy of the local community.
Ⅰ. 들어가면서
Ⅱ. 공동체와 대안적 친밀성
Ⅲ. 분석 대상사례 개요
Ⅳ. 지역공동체의 특성과 대안적 친밀성
Ⅴ. 나가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