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62821.jpg
KCI등재 학술저널

비영리조직(NGO) 구성원들의 공공봉사동기 유형화

Types of NGO Employees’ Public Service Motivation: Analysis Based on Q Methodology

DOI : 10.35225/kdps.2022.17.1.77
  • 219

한국의 NGO 구성원 상당수가 비교적 열악한 환경에서도 사회변화 또는 공익 실현이라는 목표 달성을 위해 일하고 있음을 고려하면, 이들에 대한 동기를 구체적으로 살펴보고 적합한 동기부여 전략을 마련하는 것은 NGO 인적자원관리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가치를 지닌다. 본 연구는 ‘비영리조직(NGO) 구성원은 어떠한 공공봉사동기 유형을 가졌는가?’에 대한 연구 질문에 대한 답을 찾는 과정으로, 분석의 결과를 통해 NGO 인적자원관리 개선에 기여하는 정책적 함의를 제시하고 바람직한 동기부여 전략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NGO 구성원들의 공공봉사동기를 유형화하기 위해 Q방법론을 적용하여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NGO 구성원들은 1) 공감 중심의 동정심을 가진 구성원, 2) 섬세한 배려를 기반으로 동정심을 가진 구성원, 3) 공동체 활동을 통한 성취 추구를 중시하는 구성원, 4) 바람직한 미래사회를 추구하는 구성원, 5) 개인의 바람직한 역할과 책임을 강조하는 구성원으로 구분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본 연구는 이들 유형 간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중심으로 한국 NGO의 인적자원관리 및 동기부여 전략에 있어 나아가야 할 방향과 대안을 제시하였다.

Since many employees of NGOs in Korea are working towards achieving the goal of social change or realization of the public interest, even in a relatively poor organizational environment, it is very important for NGO human resource management to examine their motivations in detail and to come up with an appropriate motivational strategy. Accordingly, the present study addressed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 “What types of public service motivation do NGO employees have?” We also tried to suggest policy implications that would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NGO human resource management. To this end, we conducted an analysis by applying the Q methodology to categorize NGO employees’ public service motivation. The results revealed that NGO employees can be divided into 1) employees with empathy-centered sympathy, 2) employees with sympathy based on delicate consideration, 3) employees who value achievement through community activities, 4) employees who pursue a desirable future society, and 5) employees who emphasize the desirable roles and responsibilities of individuals. Taken together, these findings highlight the direction and offer alternatives to be pursued in the human resource management and motivational strategies of Korean NGOs, focusing on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se types.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설계

Ⅳ. 분석 결과

Ⅴ.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