혐기성 소화 슬러지 탈리여액을 대상으로 마그네슘 공급원이 인산암모늄마그네슘(MAP) 결정화에 의한인산염 회수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회분식 실험을 실시하였다. 마그네슘 공급원으로 염화마그네슘, 수산화마그네슘 그리고 산화마그네슘을 사용하여 다양한 pH (7.5, 8.0 및 8.5) 조건 및 Mg/P 몰 비율(1.0, 1.5, 2.0 및 2.5)에서 인산염 회수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마그네슘 공급원과 관계없이 pH 조건과 Mg/P 몰 비율이 높을수록인산염 회수율이 증가하였다. pH가 가장 낮은 7.5의 조건에서는 Mg/P 몰 비율이 증가할수록 인산염 회수율이 증가하였는데 산화마그네슘, 수산화마그네슘, 염화마그네슘의 순으로 높았다. 그러나 pH가 가장 높은 8.5의 조건에서는Mg/P 몰 비율과 관계없이 모든 마그네슘 공급원에서 90% 이상의 높은 인 회수율을 얻을 수 있었다. 따라서 낮은pH 조건에서도 높은 인산염 회수율을 얻을 수 있었던 수산화마그네슘과 산화마그네슘이 경제적인 측면뿐만 아니라효율적인 측면에서도 염화마그네슘을 대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Batch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find out the effects of various types of magnesium compounds on phosphorus recovery by magnesium ammonium phosphate (MAP) crystallization. The phosphorus recovery from the centrate of anaerobic digested sludge was performed using magnesium chloride, magnesium hydroxide and magnesium oxide under different pH (7.5, 8.0 and 8.5) and Mg/P molar ratio (1.0, 1.5, 2.0, 2.5) conditions. The phosphorus recovery rate increased with increasing pH and Mg/P molar ratio in all magnesium compounds. At pH 7.5, magnesium oxide showed the highest phosphorus recovery rate, followed by magnesium hydroxide and magnesium chloride. However, at pH 8.5, more than 90% of phosphorus recovery rate was obtained in all Mg/p molar ratios. Thus, it is expected that magnesium hydroxide and magnesium oxide are able to replace magnesium chloride as a magnesium source in terms of phosphorus recovery efficiency and cost.
1. 서론
2. 연구방법
3. 결과 및 고찰
4. 결론
사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