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62850.jpg
KCI등재 학술저널

김춘수의 『處容斷章』(1991)에 나타난 무의미시의 퇴행 양상 연구

A Study on the Retrograde Patterns of Nonsense Poetry in Kim Chun-su s 『Cheoyongdanjang』(1991)

  • 10

시인 김춘수는 오랫동안 ‘처용’을 문학적으로 형상화하다가 『處容斷章』이라는 장편 연작시를 발표했다. 장기간에 걸친 기획으로서 『處容斷章』은 이전의 처용 형상과 변별되는 모습을 보여준다. 김춘수의 무의미시에 대한 판단은 논자에 따라 극심한 차이를 보였으나 정작 텍스트 차원에서 김춘수의 시작 실험이 구체적으로 해명되었는지는 다소 의문이다. 또한 김춘수 시론에 얽매이지 않고 시 텍스트에 나타난 창작 방법론을 살핀 논의는 많지 않다. 이에 따라 이 논문에서는 김춘수의 『處容斷章』을 ‘문제적 개인의 자전적 기록물’이자 기획으로 규정하고, 텍스트에 나타나는 언술상의 특징과 시적 주체의 태도를 살펴보았다. 무의미시 실험의 극점을 이루는 『處容斷章』에서 시적 주체는 이미지의 깊이가 깊어지는 것을 제한하면서도 감각에 대한 강박을 보인다. 시적 주체의 입을 통해 은연중에 나오는 말들은 의식적인 발언이라기보다는 발화에 가까우며, 세계를 저버리지 못하는 주체의 태도는 참여라기보다는 참가에 가깝다. 2부로 넘어가면서 시적 주체는 현실에서 벗어나려 할수록 현실에 강하게 구속되는 역설적인 몸짓을 보여준다. ‘나’를 숨기고자 했던 시적 주체는 자기도 모르는 사이에 자신을 내보이고 현실과 의미에 대해 발화한다. 3부의 시적 주체는 꿈의 자리로 달아나면서 시의 리듬을 후퇴시킨다. 김춘수의 시적 주체는 ‘무의미’를 지향하면서도 의미의 영역에 구속되어 있는 모습을 보여준다. 고백과 리듬이 퇴화한 자리에 남은 것은 무의미시의 후퇴이자 『處容斷章』의 한계였다.

Poet Kim Chun-Su, after long figuring out ‘Cheoyong’ as a literary figure, published a long series of poems called ‘Cheoyongdanjang’. As a long-term project, 『Cheoyongdanjang』 shows a different form from the previous form of Cheoyong. The judgment on Nonsense Poetry differed greatly depending on the author, but it is somewhat questionable whether Kim Chun-soo s early experiments were specifically explained in text. Also, there are not many discussions that examine the creative methodologies shown in the poetry texts without being bound by Kim Chun-su s poetry. Accordingly, in this thesis, Kim Chun-su s 『Cheoyongdanjang』 is defined as an autobiographical record of a problematic individual and a project, and the characteristics of speech appearing in the text and the attitude of the poetic subject in the text were examined. In 『Cheoyongdanjang』, which constitutes the culmination of an experiment on Nonsense Poetry, the poetic subject restricts the depth of the image while showing an obsession with the senses. The words implicitly expressed through the poetic subject s mouth are closer to utterance than conscious remarks, and the attitude of the subject, who cannot abandon the world, is difficult to regard as participation. Moving on to the second part, the poetic subject shows a paradoxical gesture that the more he tries to escape from reality, the stronger he is bound to reality. A poetic subject, who tried to hide the ‘I’, reveals itself without realizing it and ignites the reality and meaning. The subject of the third part of the speech retreats to the rhythm of the poem while fleeing to the place of the dream. Kim Chun-su s poetic subject pursues ‘meaninglessness’, but shows that he is constrained by the realm of meaning. What remained in the place where the confession and rhythm had deteriorated was a retreat from Nonsense Poetry and the limitations of 『Cheoyongdanjang』.

1. 서론

2. 문제적 개인의 자전적 기록물, 기획으로서의 『處容斷章』

3. 감각에 대한 강박과 참가적 발화

4. 포즈가 된 리듬과 퇴행적 발화

5.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