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62953.jpg
KCI등재 학술저널

건강정보채널 선택에 대한 영향요인 탐색

Exploring Factors Affecting Health Information Channel Selection: Trust, Health Literacy, and Health Orientation

DOI : 10.37243/kahms.2022.59.41
  • 229

본 연구는 급증하고 있는 건강정보가 다수에게 시의적절하게 유통 및 보급되기 위한 효과적인 건강정보채널 활용방안을 모색하였다. 특히 건강정보채널의 유형 중에서 사회적 관계 외부에서의 수동적 노출 및 능동적 탐색, 사회적 관계 내부에서의 상호적 소통이라는 구분에 주목하여 각 채널별 주요 수요자 집단 간 차이를 살펴보고, 사회적 자본으로서의 신뢰, 건강정보이해력, 건강지향성, 인구사회학적 요인이 이러한 다양한 건강정보채널 선택 유형과 어떤 관계를 갖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 19개 지역 약 1,900명을 대상으로 수집한 데이터를 활용하여 일원배치 분산분석 및 다항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사회적 관계 외부-능동적 탐색이 가장 많이 활용되는 채널인 것으로 확인되었다(52.03%). 그리고 나머지 두 개 채널 유형 선호도 관련 요인을 분석한 결과는 두 가지로 정리된다. 첫째, 사회적 관계 내부-상호적 소통 유형은 서울, 수도권, 광역시를 제외한 기타지역 거주자, 직업군중에서도 주부, 학생, 무직인 경우 선호도가 높은 채널이었다. 또한 사적 신뢰 중 일반화된 신뢰 수준이 낮을수록, 반면 가족, 친구, 이웃 등에 대한 국부적 신뢰가 높을수록 사회적 관계 내부-상호적 소통 채널을 선호하였다. 둘째, 사회적 관계 외부-수동적 노출 채널의 경우 서울, 수도권, 광역시를 제외한 기타지역 거주자와 주부, 학생, 무직, 자영업, 농업, 판매, 서비스, 생산직이 더 높은 확률로 선호하였다. 또한 건강정보이해력의 수준이 높다고 보고할수록 사회적 관계 내부 채널을 선택할 확률이 높은 반면에 건강정보이해력 수준이 낮다고 스스로 판단할수록 사회적 관계 외부-수동적 노출 채널선호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2010년 이전 미국에서 수행된 선행연구들의 결과와 달리 건강지향성은 건강정보채널 선택 유형과 유의미한 연관성을 보이지 않았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종합하면, 지방중소도시 지역사회 네트워크, 특정 직업군 내의 온·오프라인커뮤니티, 국부적 신뢰 관계로 형성된 공동체 내 오피니언 리더, 지역방송 및 활자매체 등을 활용하여건강정보 수요를 충족시킬 필요가 있다는 정책적 함의를 도출할 수 있다. 또한 개인이 체감하는 건강정보이해력 수준은 건강정보채널 선택 유형에 영향을 미치지만 실제 건강정보 이해 및 활용 능력 수준과 반드시 일치하지는 않을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investigated how health information channel can be effectively used for timely and widespread dissemination of information. Among various channels, passive exposure or active searching-outside social network, and interactive communication-inside social network were explored. In doing so, we examined how trust as social capital, health literacy, health orientation and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were associated with channel selection. To that end, One-Way ANOVA and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were performed with the data collected from 1,900 people in 19 regions in South Korea. The results showed that active searching-outside social network was most preferred (52.03%), and factors affecting the selection of the other two channels were examined. First, inside social network was preferred by residents outside Seoul or other metropolitan cities, housewives, students, and the unemployed. Also, this channel was preferred by those who have lower generalized trust and higher particularized trust for family, friends and neighbors. Secondly, passive exposure-outside social network was preferred by residents outside Seoul or other metropolitan cities, housewives, students, the unemployed, self-employed, agriculture, sales, service, and manufacturing jobs. Also, higher level of self-reported health literacy was associated with inside social network channel while those who reported to have lower health literacy were more likely to prefer outside social network-passive exposure channel. In addition, unlike previous studies conducted in the United States before 2010, health orientation was not associated with the health information channel selection. To summarize, it is necessary to meet the health information needs by utilizing community network in small cities or provinces, online and offline communities for specific jobs, opinion leaders in a group with particular trust relationships, local broadcasting system or print media. In addition, self-reported health literacy affected the health information channel selection but one’s actual ability to understand and use health information appropriately may not be in consistent with self-reported health literacy.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Ⅴ. 결론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