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물 밀집지역의 지붕 및 외장재료의 연소특성 분석을 통한 도시화재 위험성 평가방법 개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the Risk Assessment Method for Urban Fire by Analyzing the Combustion Characteristics of Roof and External materials in Building Densed Area
- 호서대학교 공업기술연구소
- 공업기술연구 논문집
- 제39권 제1호
-
2020.0665 - 74 (10 pages)
- 30

우리나라는 도심 곳곳에 노후화된 건축물 밀집지역이 존재하고 있다. 이러한 건축물 밀집지역은 재해에 취약하며, 특히 화재 발생 시 화재가 인근건물들로 확대될 위험성이 높지만, 이에 대한 화재 위험성 평가방법이 부재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 건축물 밀집지역의 화재사례 검토를 통해 건축물간 화재확대 요인 중 지붕 및 외장재료를 대상으로 각각의 연소특성을 분석 하였다. 이를 통해 향후 도시화재 위험성 평가 모델 구축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 하고자 하였다.
In this study, a study on improvement of risk assessment method for urban fire was performed by targeting domestic cities and building congested area.For this objective, its improvement method was deduced through literature survey for urban fire risk assessment method at home and abroad, applicability analysis and based on fire case survey, inter-building fire spread path was reestablished to be fit for domestic reality was improved. Therefore, in this study, combustion characteristics was analyzed for roof and external materials among the factors that caused the fire to expand between buildings.
I. 서론
II. 건축물 밀집지역 화재 위험성 평가에 관한 기존 연구 분석
III. 국내 건축물 밀집지역 화재 사례를 통한 화재확대 경로 분석
IV. 지붕 및 외장재료의 연소특성 분석에 관한 실험
V. 결론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