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온실가스 Net Zero 2050 실현을 위한 지방자치단체 단위 도시관리 방향

Policies and Effects in Local Government for Carbon Emission Net Zero

  • 81
162999.jpg

본 연구는 최근 정부에 의해서 선언된 온실가스 Net Zero 2050실현 목표 달성을 위해 기존의 지자체 단위로 수행된 관련 정책들이 온실가스 저감에 실제로 기여했는지를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PCC 가이드라인을 참고하여 232개 통계 데이터를 구득할 수 있는 4개의 탄소저감 성과지표(전력사용량, 생활폐기물배출량, 석유소비량, 녹지면적)를 선정하였으며 ‘저탄소 녹색성장’ 발표 이후, 3년이 지난 2008년도를 본격적인 정부의 탄소저감 정책 추진 시점으로 정하고 이를 기준으로 하여 2017년(2018년)까지의 지표값 변화량을 시계열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7개 지자체는 각각 특화된 정책을 가지고 다양한 저탄소 정책 및 사업을 추진하고 있었다

The article investigated carbon reduction policies and selected seven cities that were awarded several times through evaluation systems. Four carbon reduction performance indices of electric usage, volume of domestic waste, amount of oil consumption, and area of green were selected according to IPCC guidelines(2006). Lastly, time sequential analysis from 2008 to 2017(2018) was conducted based on the period before the policy enforcement of the central government. As the result of comparative empirical analysis between awarded city groups and general city groups, The change rates of awarded city group: rate of change in electric usage, volume of domestic waste, and amount of oil consumption of an awarded city is superior than general cities.

I. 서론

II. 이론적 고찰

III. 지자체별 정책 및 사업 추진현황

IV. 탄소저감 효과분석

V. 결론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