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상대응 활동시 적용 가능한 3D 정보 전달 시스템 구축
Construction of 3D Information Delivery System Applicable to Emergency Response Activities
- 호서대학교 공업기술연구소
- 공업기술연구 논문집
- 제40권 제1호
-
2021.0637 - 42 (6 pages)
- 16

소방대원과 같은 인력의 경우 사고 대응 과정에서 구조물 또는 대상물에 필요한 정보를 효과적으로 파악하고 공유하는 것이 매우 어렵다. 본 연구에서는 천안아산역을 샘플링하여 비품, 대피 경로, 소화 시스템 등에 대한 종합적인 공간 데이터를 구축하고자 하였다. 기본적으로 3D GIS 정보를 이용한 3D 모델링 소프트웨어와 레이저 기반 3D 스캐너로부터의 측량 데이터를 상세히 구현하였다. 또한 위험, 주의, 안전에 관한 색상을 적용하여 대상물의 안전 상태 정보를 표현하였다. 최종적으로 다양한 3D 정보를 수집하여 비상대응시 프로세스를 구축하고, 구조 대책 및 활동 수립에 적합한 공간정보 전달 시스템을 파급시키고자 한다.
In case of the manpower like fire fighters, it is difficult to identify and share efficiently necessary information for a construction and a target in the action process of accidents. In this research, total spatial data were constructed for the fixtures, evacuation routes, fire extinguishing system, and etc. through the sampling of Cheonan-Asan Station. Basically the measurement data were constructed in detail by the 3D Modeling software using the 3D GIS information and the surveyed data from the 3D Scanner based on laser. And the information of safety state for targets was expressed by applying on a risk or a caution, or a safety as colors. As a result, we are intended to establish the process in an emergency response as gathering various 3D information, and then to spread spatial information delivery system suitable for rescue plans and activities.
I. 서론
II. 실험
III. 실험 결과
IV. 결론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