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63001.jpg
학술저널

화재통계자료를 활용한 건축공간 화재위험분석을 위한 기초 연구

A Basic Study for Fire Risk Analysis in Building Spaces Using Fire Statistics Data

  • 66

국내 화재위험평가의 경우 출화율, 가연물 등의 조건을 반영하여 화재위험을 평가하게 되지만 건축물 용도, 공간에 따라 사용되는 목적이 달라짐에 따라 화재위험 역시 다를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건축공간의 화재위험을 평가한 Michigoe의 화재위험분석을 참고하여 국내 건축물 공간에 대한 화재위험분석을 실시하고자 한다. 따라서 스프링클러의 설치 유무에 따라 건축물 용도별 공간의 화재위험성을 분석한 결과 스프링클러가 설치되지 않은 공간의 화재위험성이 약 0.75배 차이가 발생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In the case of domestic fire risk assessment, fire risk is evaluated by reflecting conditions such as fire rate and combustibles, but fire risk is also expected to vary as the purpose of use varies depending on the purpose and space of the building. Therefore, we intend to conduct a fire risk analysis for domestic building spaces by referring to Michigoe s fire risk analysis, which evaluated the fire risk of building spaces. Therefore,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fire risk of the space for each building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of the sprinkler, it was confirmed that the fire risk of the space without the sprinkler was about 0.75 times different.

I. 서론

II. 화재위험평가를 위한 분석방법

III. 건축물 용도별 기준 면적 산출 결과

IV.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