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63010.jpg
KCI등재 학술저널

해리수직편위를 동반한 양안 하사근기능항진 환자에서 시행한 비대칭적 양안 하사근전치술

Asymmetric Bilateral Inferior Oblique Transposition of a Bilateral Inferior Oblique Overaction Associated with Dissociated Vertical Deviation

목적: 하사근기능항진이 동반된 해리수직편위는 영아내사시나 영아외사시에서 이차적으로 잘 발생한다. 하사근기능항진과 해리수직편위를 교정하기 위해서 대부분의 수술의들이 비대칭적으로 양안 하사근전치술을 시행하고 있지만, 수술량에 대해 정립되어 있는것이 없었다. 이 연구에서는 일정한 기준으로 양안의 비대칭적 하사근전치술을 시행한 후 성공적인 결과에 대해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고려대학교 의료원에서 영아사시로 수평근수술을 받았던 환자 중 양안 하사근기능항진이 동반된 해리수직편위로 2013 년 1월부터 2020년 12월까지 양안 하사근전치술을 시행받은 환자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양안의 하사근의 새로운 부착부의 위치는 수술 전 측정한 양안의 해리수직편위 각도의 차이에 따라 결정하였다. 수술 한 달 후 양안의 해리수직편위 각도의차이가 5프리즘디옵터 미만으로 감소하였을 때 성공적으로 교정되었다고 정의하여 분석하였다. 항상전증후군을 피하기 위해 하사근은 모두 적도부 근처에 부착하였다. 결과: 총 23명의 환자들을 분석했고, 이 중 12명은 추가적으로 수평근수술을 시행하였다. 양안의 해리수직편위의 차이와 하사근기능항진 정도는 수술 후 유의하게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다. 항상전증후군을 보이는 환자는 없었다. 결론: 양안에 대칭적 또는 비대칭적으로 하사근전치술의 수술량을 결정할 때 수술 전 해리수직편위각도의 차이를 반영하여야 한다.

Purpose: Inferior oblique overaction with a dissociated vertical deviation occurs secondary to infantile exotropia or esotropia. In terms of correction, asymmetric bilateral inferior oblique transposition has been the treatment of choice, but the surgical amount depended largely on the surgeon’s experience. We report successful bilateral inferior oblique transposition using our own standard methods. Methods: We performed a retrospective medical chart review of patients with bilateral inferior oblique overaction and dissociated vertical deviation who underwent bilateral inferior oblique transposition at the Korea University Medical Center from January 2013 to December 2020. We performed either symmetric or asymmetric transposition; the reattachment sites of the bilateral inferior obliques were determined according to preoperative differences of the inter-eye deviations of dissociated vertical deviation. When the differences were < 5 prism diopters, correction was considered successful. To avoid the development of anti- elevation syndrome, the inferior oblique muscles were re-attached near the equator. Results: Twenty-three patients were analyzed, all of whom underwent bilateral inferior oblique transposition; 12 required additional horizontal muscle surgery. The deviation difference (both eyes) and inferior oblique overaction grade were significantly lower postoperatively. We did not encounter any case of anti-elevation syndrome. Conclusions: The surgical extent of asymmetric bilateral inferior oblique transposition should reflect the difference in dissociated vertical deviation the two eyes.

대상과 방법

결과

고찰

REFERENCES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