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63026.jpg
학술저널

초등학교 학부모의 교육참여 : 학부모교육참여패널 1-4학년 기초분석 결과

Trends and Changes in Korean Parents’ Educational Involvement From First To Fourth Grade

  • 4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학부모의 교육참여 양상이 학년별로 어떠하며, 학년이 올라가면서 어떻게 변화하는지 추이를 파악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 교육참여는 Epstein 등의 개념화에 따라 부모역할, 의사소통, 자원봉사, 가정학습, 의사결정, 지역사회 협력으로 구분하였다. 학부모교육참여패널연구의 초등학교 1-4학년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학년별로 기술통계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이 패널은 2017년 첫째 자녀가 초등학교에 입학한 어머니의 교육참여를 4학년까지 추적조사한 것으로, 학년별 응답자는 1학년(2017) 408명, 2학년(2018) 426명, 3학년(2019) 377명, 4학년(2020) 308명이었다. 학년별 추이를 살펴본 결과 학교 내 학부모교육, 학부모총회 및 학부모설명회, 학부모 자원봉사, 운영위원회 및 학부모회, 교사와의 면대면 의사소통, 가정 내 교육지원 등 전 영역에 걸쳐 자녀의 학년이 올라감에 따라 교육참여 수준이 감소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초등학생 자녀의 성장에 맞추어 학부모도 역량을 강화할 수 있도록 정책적 지원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trends of educational involvement among Korean parents with children in elementary school and how these trends change over time from the first to fourth grade. Based on Epstein et al.’s conceptualization, we categorized parental educational involvement into six dimensions: parenting, communicating, volunteering, learning at home, decision making, and collaborating with community. We analyzed the data on mothers of first to fourth graders from the Panel Study of Korean Parental Educational Involvement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his data set came from Korean mothers whose first child entered elementary school in 2017. The sample sizes were 408 in first grade (2017), 426 in second grade (2018), 377 in third grade (2019), and 308 in fourth grade (2020). We found that parents’ educational involvement decreased over time with respect to participation in parenting education at school, school briefing sessions, volunteering at school, parent-teacher associations, and educational support at home. These results suggest that policy support is critical to help parents strengthen their parental competency as their children develop through elementary school.

I.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II. 연구방법

III. 연구결과

V. 논의 및 정책적 제언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