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한국의 국가부도위험인 CDS 프리미엄과 환율 간 대칭적·비대칭적 정보전이 효과를 일본과 비교·분석하여 외환정책 등에 유의한 정책적 시사점을 얻는 데 있으며, 주요 실증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대칭적 정보전이 효과의 경우, 한국의 경우 CDS 프리미엄의 수익률에서 원/달러 환율의 수익률로 일방향으로만 정보전이 효과가 나타난 반면 일본은 CDS 프리미엄의 수익률과 엔/달러 환율의 수익률 간에 양방향으로 정보전이 효과가 나타났다. 두 번째로 한국 CDS 프리미엄의 변동성과 원/달러 환율의 변동성 간에는 양방향 정보전이 효과가 존재했으나 일본 CDS 프리미엄의 변동성과 엔/달러 환율의 변동성 사이에는 엔/달러 환율에서 CDS 프리미엄으로의 일방향으로만 정보전이 효과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비대칭적 정보전이 효과의 경우, 한국과 일본 모두 악재정보와 호재정보 간에 차이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원/달러 환율의 안정적 유지를 위해서는 CDS 프리미엄의 안정적 관리가 중요하며 CDS 프리미엄의 안정적 유지를 위해서도 원/달러 환율의 안정적 관리가 중요하다는 점을 실증적으로 보여주었다는 데 의의가 있다고 생각한다. 또한 선진국인 일본과의 비교·분석을 통해 원/달러 환율이 CDS 프리미엄의 과도한 영향을 받지 않기 위해서는 엔화와 같이 원화의 국제화가 필요하다는 중요한 정책적 시사점도 얻었다고 본다.
This paper analyzes symmetric and asymmetric information spill-over effects between CDS premium and exchange rates of korea and Japan.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in case of symmetric information spill-over effects by the conditional mean equation, only from Korea`s CDS premium to won-dollar exchange rates but there are bi-direction information spill-over effects between Japan`s CDS premium and yen-dollar exchange rates. Second, in case of symmetric information spill-over effects by the conditional variance equation, there are bi-direction information spill-over effects between volatility of Korea`s CDS premium and volatility of won-dollar exchange rates. But only from volatility of yen-dollar exchange rates to volatility of Japan`s CDS premium. Lastly, both Korea and Japan, the asymmetric information spill-over effects from CDS premium to exchange rates are due to bad news. The results suggest that In order to maintain won/dollar exchange rate stably, CDS premium`s stable maintenance is also important because CDS premium has symmetric, asymmetric information effects towards won/dollar exchange rates. In addition, by comparison analysis with the Japan`s case, it inferred that In order to reduce excessive CDS premium`s influence toward to won-dollar exchange rates, the internationalization of the Won is needed.
Ⅰ. 서론
Ⅱ. 선행 연구
Ⅲ. 기초 통계 자료 분석
Ⅳ. 분석방법론
Ⅴ. 실증분석 결과
Ⅵ. 요약 및 시사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