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신발산업의 수출경쟁력을 주요 수출국(중, 미, 일)을 대상으로 비교분석하여 정책적인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무역결합도(TII), 산업내무역(IIT), 시장별 비교우위(MCA), 무역특화지수(TSI) 등을 활용하였다. 실증분석 기간은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글로벌 경쟁이 심화되는 최근 6년간(2010-2015년)으로 한정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신발산업은 주요 수출시장에서 대부분 비교열위 상태로 나타났다. 무역결합도인 경우 3개국 모두 1보다 작거나 낮아지는 추세를 보여 주고 있고, 산업내무역은 3개국 모두가 1보다 낮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시장별 비교우위지수는 일부 국가 및 기간(일본에서 HS 6403, 중국에서 HS 6406)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비교열위 상태를 보여 주고 있다. 무역특화지수는 중국 시장과 미국 시장을 중심으로 수입특화이면서 비교열위 상태를 보여 주고 있다. 다중회귀 분석 결과에서는 주요 수출시장에서 연구개발과 노동생산성이 신발산업의 수출경쟁력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임을 보여 주고 있다. 이러한 실증분석 결과를 근거로 신발산업의 수출경쟁력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규모의 경제 및 공정혁신, 틈새시장의 수요패턴 분석 및 개척, 글로벌 브랜드의 개발 및 GVC 참여, 고급 및 차별화 제품 수출전략 구축, 고급인력의 양성 및 유치, 전후방 연관 산업과의 협업이나 분업 증대, 혁신적인 핵심원천 부품소재 및 고부가가치품목 개발 등에 주력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analyses the export competitiveness of Korean foot wear industry in major exporting markets(China, U.S., Japan). This research is mainly based on different trade indicators of TII, IIT, MCA. Trade intensity index expresses the degree of closeness of trade between trade countries. Intra-industry trade is a trade of products that belong to the same industry. Market comparative advantage can be used to measure revealed comparative advantage of a country. The empirical results show Korean foot wear industry in major exporting markets demonstrates comparative disadvantage for the same period and the export competitiveness has declined substantially. Based upon the empirical results, this paper suggests efficient strategy. First, Korean foot wear industry concentrate efforts on the cost reducing and price discount with economies of scale and innovation. Second, to insure high quality and safety of foot wear industry, manufacturers have to make sure all products comply with relevant standards. Third, Korean foot wear firms concentrate efforts on the collaboration or the division of labor enlargement and have to improve the R&D ability. Finally, Korean foot wear firms have to push ahead on enhancement of human resource quality through the educational training and improvement of productivity.
Ⅰ. 서론
Ⅱ. 선행 연구의 고찰 및 이론적 근거
Ⅲ. 신발산업의 특성 및 수출입 현황
Ⅳ. 실증분석
Ⅴ. 결론 및 정책적 제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