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암 민사평은 14세기 전반기를 대표하는 문인 중 한 명으로 고려후기 명문의 반열에 오른 여흥민씨 가문이 배출한 대표적 인물이다. 그는 한시 문학 전반에 걸쳐 매우 뛰어난 작가였으며, 또 그의 다양한 시작(詩作)은 당대(當代) 및 후대 작가들에게 영향을 주었다. 그는 당대의 명유(名儒)였던 동암(東菴) 이진(李瑱)의 문생으로 출사(出仕)하여 익재 이제현, 졸옹 최해, 가정 이곡, 담암 백문보, 제정 이달충, 초은 이인복, 목은 이색 등 당대를 대표하는 사대부 문인 학자들과 교유하며 학문을 공고히 하였다. 급암시에 사대부 관료로서의 면모가 드러나는 것은 그의 사승관계, 교유관계에 기인하는 바가 크다. 급암문학은 전원시나 영물시와 같은 일상의 경험을 바탕으로 한 자연미(自然美)를 추구한 것과 인생에 대한 성찰을 다룬 것, 당대 정치·사회 현실을 목도하고 쓴 것 등 크게 세 가지 범주로 분류할 수 있다. 자연미를 추구한 시에서는 주로 귀거래에 대한 동경이 드러나 있어 고려후기 사대부들의 귀향의식 혹은 은거의식의 일 단면을 엿볼 수 있다. 인생에 대한 성찰에서는 노년에 느끼는 허무와 동료들과 교유하며 주고받은 시들이 주를 이룬다. 정치·사회 현실을 목도하고 쓴 시들은 사대부 관료로서 갖게 된 현실인식을 바탕으로 작시된 것들로 급암의 관료문인적 측면이 잘 드러나 있다. 특히 고려후기 사대부들이 성리학이라는 학문적 배경을 갖고 있음에도 불가의 승려들과 활발한 교유를 했던 것과 마찬가지로 급암 역시 다양한 승려들과 교유를 나눴지만, 사상적 측면에서는 유학 중심의 가치관을 지닌 채 불교가 갖는 현실부정, 혹은 현실에 소극적인 태도를 비판하고 있는 점은 급암의 유학자적 면모와 사상적 특징을 잘 보여준다. 또한 사대부 유자(儒者) 관료로서 정치현실에 참여했을 때 지녀야 할 태도와 백성에 임하는 자세 등이 그의 시에 다양하게 드러나 있어 매우 흥미롭다. 본고에서는 그의 시문에 나타난 사대부 의식을 검토함으로써 당대 사대부 지식인들의 사상과 지향을 고찰하는 단초로 삼고자 한다.
Min Sapyung was one of the representative writers of the first half of the 14th century. He is a representative figure of Yeoheung-min’s family, a prestigious family in the late Goryeo Dynasty. He was a very outstanding writer in poetry literature. In addition, his various works influenced contemporary and later writers. He was a disciple of Lee Jin, a famous Confucian scholar of the time, and went to work at the government office to develop his studies by interacting with scholars representing the time, including Ikjae Lee Je-hyun, Zolong Choi Hae, Gajeong Igok, Damam Baekmunbo, Je Dalchung, Choeun Lee In-bok, and Mokgeun Lee Saek. The reason why the poem written by Min Sapyung reveals his aspect as a nobleman is because of this wide human relationship. Min Sapyung’s works can be classified into three main categories. First, there are poems that pursued natural beauty based on daily experiences, second, poems that deal with reflection on life, and third, poems that witnessed and wrote the political and social realities of the time. In poems pursuing natural beauty, you can get a glimpse of the sense of return of the noblemen in the late Goryeo Dynasty. In poems that sing about reflection on life, you can see the emptiness you feel in old age. Most of them are poems exchanged with colleagues. The poems written after witnessing the reality of politics and society were written based on the perception of reality as a nobleman, and the bureaucratic. In particular, the noblemen of the late Goryeo Dynasty actively interacted with monks despite their academic background of Neo-Confucianism. Likewise, Min Sapyung interacted with various monks, but in terms of ideology, he criticized Buddhism’s denial of reality or passive attitude toward reality based on Confucian-centered values. This point illustrates the Confucian aspect and ideological characteristics of Min Sapyung. In addition, interestingly, his poems reveal a variety of postures to have when participating in political reality as a scholar and bureaucrat, and attitudes toward the people. Therefore, in this paper, it is intended to be used as a starting point to examine the ideas and orientation of the intellectuals of the time by reviewing the consciousness of the noblemen in his poems.
1. 문제제기
2. 급암의 교유관계와 사상적 지향
3. 급암시에 나타난 사대부적 면모와 표현기법
4. 결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