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고등학교 지식재산 교사를 위한 특허 명세서 작성 프로젝트와 평가도구의 개발

Development of the project of writing patent specifications and its assessment tool to train high schools’ intellectual property teachers: Focused on teacher training programs

  • 354
163033.jpg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교 지식재산 교원연수 프로그램을 운영할 때 사용할 수 있는 교사연수생의 특허 명세서 작성 프로젝트와 그 프로젝트에 대한 수행 결과물을 평가하는 도구를 개발하는 것이다. 방법 본 연구에서는 총 3회의 교사 직무연수 프로그램을 운영하면서 ‘설계-개발-적용-평가-개선’의 반복적·형성적·순환적 특징의 ‘설계 기반 연구방법(Design-Based Research Methodology)’을 적용하여 특허 명세서 작성 프로젝트와 평가도구를 개발하였다. 결과 특허 명세서 작성 프로젝트에서는 발명품의 구성요소에 대한 명칭을 부여한 이미지 및 ‘발명의 내용’을 상세하게 제시함으로써 교사연수생들이 발명품의 주된 특징과 관련된 필수 구성요소를 쉽게 인지하여 이를 독립항과 종속항으로 구분하여 작성할 수 있도록 개발하였다. 또한 특허 명세서 작성 프로젝트 평가도구의 평가항목은 발명의 명칭, 도면 및 부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 내용 및 특허 청구항으로 구성하여 개발하였다. 특히, 특허 청구항의 하위 평가항목은 독립항, 종속항(부가, 한정) 및 유기적 결합관계로 구분하여 개발하였다. 결론 고등학교 지식재산 교사양성을 위해서 필요한 교수·학습 방법의 원활한 개발을 위해서는 변리사와 현직 교사가 교사교육의 실제 현장 속에서 지속적으로 의사소통하면서 협업할 수 있어야 하며, 이때 교사연수생의 인지적 과정과 결과물은 반복적·형성적·순환적으로 수정·보완되는 과정을 거쳐야 할 것이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ign and develop the project of writing patent specifications and its assessment tool to evaluate the performance results of teacher trainees required to operate high school intellectual property teacher training programs. Methods In this study, the project of writing patent specifications and its assessment tool was developed by applying the ‘Design-Based Research Methodology’ which has the characteristics of the iterative, formative, and cyclical process of ‘design-development-application-evaluation-improvement’ while operating a total of three teacher training programs. Results As a prescriptive result of teaching and learning, the project of writing patent specifications presents images with their names on the components of the invention, and ‘contents of invention’ in detail. The evaluation items of the project of writing patent specifications were developed by consisting of the name, drawing, and sign of the invention, specific contents for implementing the invention, and patent claims. In particular, the sub-evaluation items of the patent claim which consist of independent terms, dependent terms (additional, limited), and organic combination relationships were developed to evaluate the results of what teacher trainees produce. Conclusions In order to develop teaching and learning methodologies for training competent intellectual property teachers, patent attorneys and in-service teachers continuously need to communicate and collaborate in the real setting of teacher training where the cognitive processes and performance results of teacher trainees must be revised and supplemented by going through the iterative, formative, and cyclical stages.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