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한반도종단철도(TKR)의 단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isconnection of the Trans-Korean Railway(TKR) - Focused on the Division of the Korean Peninsula and the Outbreak of the Korean War

DOI : 10.22629/kabh.2022.37.2.003
  • 45

우선, 본 연구를 통하여 구한말과 일제 강점기에 구축되었던 한반도를 종단하는 철도였던 TKR은 해방 이후에 한반도가 분할됨과 함께 사실상 단절되었음이 확인되었다. 즉, 해방 직후부터 한반도 철도망은 외세에 의해 남과 북으로 분할되어 관리되게 되었다. 남한 영역의 철도에 대한 행정업무는 1946년 1월부로 미군정청에 의해 수행되었다. 1948 년 8월에 대한민국 정부가 수립됨과 함께 철도조직이 개편되고, 비록 제한된 범위에서나마 남북한 간을 잇는 철도가 운행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극심한 이념적 대립과 사회적 혼란에 이은 1950년 6월에 발발한 한국전쟁으로산업시설은 물론, 한반도 전역에 부설되었던 철도시설도 철저히 파괴되었다. 즉, 한반도는 휴전선을 경계로 남북한으로 분단되었으며, 남북한 간을 연결하는 철도망인 TKR의운행도 전면적으로 중지되어 단절되었다. 이처럼 한국전쟁으로 남한의 철도시설이 무참히파괴되었으며, 남한의 철도는 미군정에 의해 복구 및 관리가 이뤄졌다. 즉, 해방 이후부터한국전쟁과 휴전에 이르는 동안에 걸쳐 남한의 철도시설에 대한 복구는 주로 외자도입과미국에 의한 경제지원 차원에서 추진되었다. 상기와 같이 초기 한국철도는 일제에 의해 구축되었으나, 뜻하지 않은 외세의 개입에의한 해방으로 남북한이 분할되어 TKR 철도망도 사실상 단절되었으며, 또한 한국전쟁으로 한반도 전역의 철도시설이 철저히 파괴되었다. 이에 본 연구를 통하여 TKR의 단절은해방 직후의 남북한 간에 경제적 격차를 낳는 구조적 요인이며, 또한 한민족의 사회적 이질감을 증폭시키고 대립 관계를 심화시키는 주요 요소임이 유추되었다.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