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열린교육연구 제30권 제3호.jpg
KCI등재 학술저널

코로나19 이후 비대면 비실시간 수업환경에서 대학생들의 학습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A Phenomenological Study on the Learning Experiences of College Students in a Non-Face-to-Face, Non-Real-Time Class Environment after COVID-19

본 연구는 코로나19 이후 비대면 학습환경에서 대학생들의 학습 경험을 탐색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A 대학에 재학 중인 대학생 9명을 대상으로 코로나19 이전, 이후의 학습 경험에 대해 2021년 9월부터 11월까지 석 달간 면담을 진행하고, 연구 방법으로는 Giorgi의 현상학적 연구 방법을 적용하였다. 분석 결과, 59개의 중심의미, 21개의 드러난 주제, 7개의 본질적 주제가 도출되었다. 도출된 주제로는 ‘소통이 어렵고, 질 낮은 콘텐츠와 성의 없는 설명으로 이루어진 수업’,‘비대면 수업의 편리함’,‘참여하기 쉽고 몰입이 잘되는 대면 수업’,‘수업 특성상 유형과 난이도가 다른 과제’,‘기억이 잘 되는 수업’,‘비대면 수업에서의 허술한 시험과 변별력 없는 평가 방식’,‘시스템, 제도 및 환경 개선’이 도출되었다.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는 대학 수업방식에 변화가 필요할 것이며, 본 연구는 이를 위한 기초연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xplore the learning experiences of college students in a non-face-to-face, non-real time learning environment after COVID-19.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on nine college students’ learning experiences before and after COVID-19 for three months from September to November 2021, and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applying Giorgi’s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59 central meanings, 21 revealed themes, and 7 essential themes were derived. The themes derived were ‘a class consisting of difficult to communicate, poor quality contents and insincere explanations’, ‘convenience of non-face-to-face classes’, 'face-to-face classes that are easy to participate in and immerse sic’, ‘tasks with different types and difficulties due to the nature of the class’, ‘a well-remembered class’, ‘sloppy tests and evaluation methods without discrimination in non-face-to-face classes’ and ‘system and environmental improvements’. In the post COVID-19 era, changes in university teaching methods will be needed, and this study can be used as a basic study for this.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