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드 스트림은 클래식음악의 고도화된 형식성과 다중리듬을 통한 재즈음악 즉흥연주의 자발성을 훼손 없이 융합하는 것을 이념으로 1950년대 말 미국 음악계에 등장했는데, 클래식에게는 전통의 오염(汚染)으로, 재즈에게는 참신성의 제한으로 여겨졌다. 그래서 하나의 연주양식 내지 유행하는 음악적 혼종 정도로 여겨졌던 서드 스트림은 하지만 저 한계를 극복하려는 음악가들의 한 방법론으로 오늘날까지 이어지고 있다. 들뢰즈와 가타리의 지리철학은 감각의 블록을 하나의 기념비, 즉 예술작품의 스타일로 존립시키는 탈주·회귀의 리토르넬로에 따르는 것으로 정의하는데, 이는 실험적 즉흥성의 역학이며 그 스타일은 다져져 고정된 지층을 새로이 재영토화하는 창조적 원리이다. 미학적 스타일이 재구성되는 이 편류(偏流)는 다져지고 홈 파인 폴리스의 공간이 아닌 노모스의 매끈한 공간 위에서 이루어지는데, 상업주의와 인종갈등의 임계점에 도달한 클래식과 재즈는 서드 스트림이라는 매끈한 공간으로 탈주함으로써 미학적 인물들의 새로운 스타일을 낳는 계기를 마련한다.
Third Stream, born in the late 1950’s, was of a musical experiment for a confluence between classical and jazz music without undermining the natures of advanced formal structure and the improvisational spontaneity, respectively. Venturing the trials to overcome misunderstandings, stratify the idea of Third Stream a smooth space reproducing style than being a style-in-itself, for the musicians from each territories regarded the opponents as obstacles mutually, as an infection to classic and restriction to jazz. The DeleuzoGuattarian geo-philosohpy defines work of art as result of monument bearing, giving birth to an existence with style, and also the power of escape and return as ritornello, which means dynamics of experimental improvisation and re-territorializing creative style principle of the consistent and striped strata. A drifting trajectory of style constructing and reinterpreting artwork need rather only the smooth space of free taxing than consistent and striped space of polis. As a smooth space of ritornello and drifting line of free flight, the third stream had expanded and overcome the critical points of racial conflict and commercialization through the threshold of musical revolutions.
1. 들어가는 말
2. 들뢰즈와 가타리의 예술철학과 재즈음악
3. 서드 스트림의 유목론
4. 나오는 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