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새로운 예술인 지원정책의 하나로 참여소득의 가능성을 모색하였다. 참여소득은 아직 실현되지 않은 정책이며 그 개념 및 현실화 가능성을 위한 논쟁이 전개되고 있다. 따라서 참여소득과 예술인 지원정책의 새로운 가능성을 모색하는 이 연구는 시론의 성격을 갖는다. 기존 지원정책은 두 가지 측면에서 개선이 필요하다. 먼저 코로나19 사태 이후 대면 접촉을 전제로 하는 문화예술 분야가 위기에 처해졌다. 정부, 지자체, 관련 기관 등에서 긴급 지원정책을 구사하였으나 일시적인 효과에 그쳤다. 좀 더 지속가능한 지원 정책이 필요하다. 또한 수월성 중심의 기존 공모 선정 지원정책은 관습적인 장르 분류, 제한된 작업 기간, 결과물 중심, 복잡한 행정 절차 등의 문제를 안고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사회 변동에 따른 예술 개념의 변화, 사회적 위기에 대응하는 예술의 사회적 실천, 공적 예술 영역에 참여하는 예술인의 작업에 대한 사회적 인정 등이 필요하다. 이 연구는 참여소득의 개념과 의의에 주목하여 국가적 차원의 문화도시 사업, 각 지자체 및 일부 기관의 실험적인 예술인 지원사업을 검토하였다. 참여소득의 구체적인 정책과 방법에 있어 한계를 지닌 연구이지만 새로운 예술인 지원정책의 다양한 가능성 모색을 위한 생산적 논의에 일정한 기여를 하리라고 판단한다. .
This study examined the possibility of participation income as one of the new artist support policies. Participation income is a policy that has not yet been realized, and there is ongoing debate about its concept and feasibility. Therefore, this study, which seeks new possibilities for participatory income and artist support policies, has the character of a preliminary study. Existing support policies need to be improved in two aspects. First of all, after the COVID-19 situation, the culture and arts sector, which presupposes face-to-face contact, is in crisis. The government, local governments, and related institutions implemented emergency support policies, but these only had a temporary effect. A more sustainable support policy is needed. In addition, the existing competition selection support policy centered on excellence has problems such as customary genre classification, limited work period, result-oriented nature, and complex administrative procedures. To improve this situation,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concept of art according to social change, social practice of art in response to social crises, and social recognition for the work of artists participating in the public art field. This study reviewed the cultural city project at the national level and the experimental artist support project of each local government and some institutions, paying attention to the concept and significance of participatory income. Although it is a study with limitations in the specific policies and methods of participation income, it is believed that it will contribute to a significant amount of productive discussion to explore various possibilities of the new artist support policy.
1. 서론
2. 기존 지원정책의 한계와 참여소득의 가능성
3. 참여소득 성격의 사업과 정책
4. 예술인 지원정책의 전환과 예술노동의 재인식
5. 결론 :한계와 제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