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형태론 24권 1호.jpg
KCI등재 학술저널

최현배의 ‘바꿈’, 계승과 변화

Bakkum of Choe Hyeonbae

DOI : 10.51157/kmor.2022.24.1.82
  • 109

한국어 전통 문법에서 단어(기, 씨)의 ‘바꿈’에 관한 초기 연구는 올바른 문장 구성을 위해 기능적 목적으로 도입된 ‘품사 변화’에 초점이 있었다. 주시경(1910)의 ‘기몸박굼’이 대표적이다. 이후 ‘뜻바꿈’과 ‘몸바꿈’을 균형적으로 서술한 김두봉(1916)에서 ‘의미 변화’에 관한 탐색이 본격화되었고, 그 결과 더욱 넓은 영역으로 ‘바꿈’의 쓰임이 확대된다. 최현배(1930, 1934, 1936)을 거쳐 최현배(1937)에 이르는 일련의 논저는 ‘바꿈’이 또 다른 단계에 진입한 모습을 보여 준다. ‘씨끝바꿈’, ‘꼴바꿈’ 중심의 ‘형태 변화’를 활발하게 논의하면서, 종래의 품사 변화, 의미 변화와는 또 다른 영역으로 ‘바꿈’의 외연을 확장한다. 그 과정에서 씨끝바꿈을 주도하는 ‘씨가지’의 역할이 크게 부각되고 아울러 ‘단어 구성’에 관한 관심이 싹트게 되면서, ‘씨의 짜힘, 단어의 조성’을 통해 단어형성론과 직접 관련한 기술들이 문헌에 등장하게 된다. 이 글은 주시경(1910), 김두봉(1916)에서 시작하여 최현배(1937)에 이르기까지 ‘바꿈’을 둘러싼 계승 및 변화 양상을 논의하였다.

In the Korean traditional grammar, the initial study on the bakkum(change) of words(gi, ssi) focused on change of part-of-speech introduced for functional purposes to construct the correct sentence. A representative example is gimom-bakkum by Ju Sigyeong (1910). Then in Gim Dubong (1916), which described tteut-bakkum(change of meaning) and mom-bakkum(change of part-of-speech) in a balanced manner, the search for change of meaning began in earnest, and as a result, the use of bakkum was expanded to a wider area. A series of studies from Choe Hyeonbae (1930, 1934, 1936) to Choe Hyeonbae (1937) show that bakkum has entered another stage. While actively discussing change of shape centered on ssikkeut-bakkum(change of ending) and kkol-bakkum(change of shape), the concept of bakkum were expanded to another area different from the existing change of part-of-speech and change of meaning. In the process, the role of ssigaji, which leads ssikkeut-bakkum, was greatly emphasized and interest in the word composition began, and contents directly related to word formation theory appeared in the literature through jjahim of ssi. This article discusses the succession and change aspects surrounding bakkum from Ju Sigyeong (1910) and Gim Dubong (1916) to Choe Hyeonbae (1937).

1. 머리말

2. 주시경(1910)의 ‘박굼’과 김두봉(1916)의 ‘바꿈’

3. 최현배(1937)의 ‘바꿈’

4.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