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고는 ‘추측’과 ‘후회/아쉬움’을 의미하는 ‘-을걸’의 통사, 의미 특성을 살피고 이러한 특징들이 보여주는 바가 무엇인지를 설명하는 데에 목적을 둔다. 이에 ‘-을걸’의 통사ㆍ의미적 특성을 정리하여 살피고, ‘-을걸’이 ‘추측’을 의미할 때에는 인식양태에 해당하고 ‘후회’를 의미할 때에는 동적양태에 해당함을 보인다. 또한 ‘후회’를 의미할 때 나타나는 통사ㆍ의미적 특징이 ‘자기조응적’ 특성과 호응함을 이야기한다. 한편, ‘-을걸’은 의미별로 문법 지위에서 차이가 나타난다. ‘-을걸’이 ‘추측’을 의미할 때는 종결어미이지만 ‘후회’를 의미할 때에는 연결어미에 해당하는데, 이것은 탈종속화된 정도의 차이에서 비롯된 것으로 볼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syntactic and semantic characteristics of ‘-을걸(eulgeol)’, which means ‘inference’ and ‘regret’, and to explain what these characteristics show. So, the syntactic and semantic characteristics of ‘-을걸(eulgeol)’ are sexamined and ummarized and when ‘-을걸(eulgeol)’ means ‘inference’, it corresponds to a epistemic modality and when it means ‘regret’, it corresponds to a dynamic moality. In addition, It can be understood that the syntactic and semantic characteristics, when it means ‘regret’, derives from ‘egophoric’ property. On the other hand, there is a difference in grammatical status by meaning of ‘-을걸(eulgeol)’. When ‘-을걸(eulgeol)’ means ‘inference’, it is the final ending, while when it means ‘regret’, it is the connecting end. It can be seen as a result of the difference in the degree of insubordination.
1. 서론
2. ‘-을걸’의 통사·의미 특성
3. ‘-을걸’의 양태 의미와 자기조응성
4. ‘-을걸’의 문법적 지위와 의미
5.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