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한국노년학 제42권 3호.jpg
KCI등재 학술저널

주거빈곤이 노인의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Housing Poverty on Depression among the Elderly: A Moderated Moderation Model of Family Relationship Satisfaction and Disability

DOI : 10.31888/JKGS.2022.42.3.455
  • 740
※해당 콘텐츠는 기관과의 협약에 따라 현재 이용하실 수 없습니다.

본 연구는 가족관계만족도와 장애의 유무가 노인의 주거빈곤과 우울감의 관계에서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 주거빈곤 상태의 노인에 대해 장애의 유무에 따른 적절한 개입방안을 모색하고자 하는 목적에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노인 주거빈곤과우울감 수준을 파악하고, 조절된 조절효과 분석을 통하여 주거빈곤이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을 가족관계만족도가 조절하는지, 그리고가족관계만족도의 조절효과를 장애 유무가 재조절하는지를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주거빈곤은 노인의 우울감에 정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가족관계만족도는 주거빈곤이 노인의 우울감에 미치는 정적(+) 영향을부적(-)으로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주거빈곤이 노인의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가족관계만족도의 조절효과는 장애가정적(+)으로 재조절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비장애 노인에게는 가족관계만족도가 강력한 보호자원이 되지만, 장애 노인에게는가족관계만족도가 보호자원으로 기능하지 못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였다. 첫째, 장애 노인의 주거 관련 욕구가 파악되어야 한다. 둘째, 장애인 및 노인을 위한 유니버설 디자인과 관련한 법적⋅제도적 체계가 마련되어야한다. 셋째, 장애가 있는 주거빈곤 노인을 대상으로 한 주거지원이 이루어져야 한다. 넷째, 비장애 주거빈곤 노인에 대한 가족기능강화프로그램의 제공 및 개발이 필요하다. 다섯째, 가족이 없는 비장애 주거빈곤 노인의 우울수준 감소를 위하여 유사가족⋅대안가족관계에대한 지원이 필요하다.

This study was intend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family relationship satisfaction and disability between housing poverty and depression in the elderly, and to explore proper intervention for the elderly with or without disability. For that, we figured out the extent of housing poverty and depression in the elderly and conducted the moderated moderation analysis to determine whether the family relationship satisfaction would moderate the effect of housing poverty on depression in the elderly, and whether the disability would re-moderate the effect of family relationship satisfaction’s moderating effect. Major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housing poverty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static(+) effect on depression in the elderly. Second, family relationship satisfaction was found to moderate the static(+) effect of housing poverty on depression in elderly as an amulet(-). Third, the presence or absence of disability was found to re-moderate the family relationship satisfaction’s moderating effect as a static(+). This means that family relationship satisfaction is a strong protection resource for the elderly without disabilities, but does not function as a protection resource for the elderly with disabilities.

Ⅰ. 문제제기

Ⅱ. 문헌고찰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함의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