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왜 여전히 나는 소외되고 있는가?
노인 집단 내 디지털정보격차 심화에 관한 연구
- 남석인(Seok In Nam) 한상윤(Sangyoon Han) 김태현(Tae Hyun Kim) 박유빈(Yu Bin Park)
- 한국노년학회
- 한국노년학
- 제42권 3호
- 등재여부 : KCI등재
- 2022.06
- 731 - 753 (23 pages)
본 연구는 노인의 디지털 기술 사용 경험 전반을 심도 있게 살펴보는 동시에 노인 집단 내 디지털 격차에 주목하였다. 특히, 노인을 동일 범주로 압축하여 보는 데서 간과하는 집단 내 이질성과 노인 집단 안에서도 소외된 노인에 대한 논의를 전개하기 위해당사자인 노인이 겪은 장기간의 현상과 경험을 분석할 수 있는 근거이론을 기반으로 접근하였다. 이를 위하여 만 65세 이상의 디지털기기 활용 경험이 있는 노인 12명이 심층 인터뷰에 참여하였다. 연구결과, 54개의 개념과 26개의 하위범주 및 14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중심현상은‘디지털 세상 속 미로(迷路)에 서다’이며, ‘안 도와주거나 못 도와주거나’,‘정작 학습자인 노인이 사라진 교육’,‘용기가 부족한걸까 경험이 부족할 걸까’라는 인과적 조건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맥락적 조건은 ‘노인이 마주친 디지털 환경’과‘연령차별의늪에 빠지다’이며, 중재적 조건은‘일상을 담은 교육의 친근함’과‘마음 편히 요청할 수 있는 비공식적 도움’으로 나타났다. 이에 영향을받는 전략으로는‘두렵지만 맞서기’,‘도움 기다리기’,‘회피할수록 느끼는 소외감과 무력감’으로, 이로 인해‘디지털 세상 속에서 행복을찾는 나’,‘경계에 멈춰 불안해하는 나’그리고 ‘디지털 속도를 놓치고 멈춰있는 나’의 3가지 결과가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노인전반이 겪고 있는 어려움들, 그리고 그 안에 개별화된 특성과 욕구들에 대한 이해를 통해 노인 집단 내 디지털 격차를 완화하기 위한시니어 디지털 플라자 구축 방안을 제시하고, 세대를 아우르는 디지털 포용 사회를 위한 정책 및 실천 방향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diverse experience of the use of digital technologies for older adults, while also paying attention to the digital gap within the older adult group. In particular, based on the grounded theory, the long-term phenomenon and experience of older adults were analyzed. During the analysis, we developed a discussion on intra-group heterogeneity that could be overlooked in treating older adults as a group. For this purpose,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2 older adults aged 65 years or older who had experience using digital devices. As a result of the study, 54 concepts, 26 sub-categories, and 14 categories were found. The core phenomenon of ‘standing in the maze of the digital world’ was discovered, and the surrounding causal conditions, contextual conditions, intervention conditions, behavior/interaction strategies, and outcomes were presented as a paradigm model. This study provides guidelines for digital inclusion policies and interventions, including building a senior digital plaza that takes into account the heterogeneity of the older population and reflects the needs, desires, and limitations of each group.
Ⅰ. 서론
Ⅱ. 문헌고찰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제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