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문화와 융합 제44권 5호.jpg
KCI등재 학술저널

민중문화 기반 한국학 교육콘텐츠 개발 연구

최근 지속해서 증가하는 한국학 수요를 고려하여 다양한 학문 분야의 한국학 교육콘텐츠의 개발이 요구되고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현실에 부응하여 해외 한국학 학습자들에게 제공할 유용한 한국학 교육콘텐츠의 개발을위해 우리 문화의 저변을 형성하고 있는 민중문화적 요소가 콘텐츠로 활용될 필요성을 제안한다. 즉 민중문화의개념, 역사, 문학, 어문, 사상과 종교와 관련된 광범위한 요소를 한국학 교육콘텐츠로 개발함으로써 한국학 수요자들의 다양한 요구에 한층 더 깊이 다가설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어문과 문화에 내재한 민중의 속성을 활용한 한국학 교육콘텐츠의 개발과 역사와 사상에 기반한 학제 간 교육콘텐츠의 개발 필요성과 방법론을 제안하였고, 교육콘텐츠 개발의 모델 제시를 위해 해외 한국학의 현황 분석과 현시점의 한국학 수요에 대해서도 간략히 살펴보았다. 그리고 민중문화 기반 한국어 교육콘텐츠 개발의 실례로 ‘민중문화와 한국어 속담’교과목의 강의 구성안 제시하였다. 특히 이 교과목은 MOOC 강좌를 전제로 구성안을 개발함으로써 향후 해외 한국학 수요자 대상의 K-MOOC 강좌 개발의 모델로 활용할 수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e development of Korean studies educational content in various academic fields is necessary for considering the ever-increasing demand for Korean studies. In response to this reality, this study proposes the need to utilize the elements of minjung(people) culture, which form the basis of Korean culture, as content for developing practical Korean studies educational content to be provided to overseas Korean studies learners. In other words, developing a wide range of elements related to the concept of minjung culture in history, literature, language, ideology, and religion as educational content for Korean studies will be possible to approach the diverse needs of consumers of Korean studies more deeply. To this end, this study examines the necessity and methodology of educational content for Korean studies us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people(minjung) inherent in language and culture. Also, this study delves into the development of interdisciplinary educational content based on history and ideas. Analysis of the current status of Korean studies and the current demand for Korean studies were also briefly reviewed. In addition, as an example of the development of Korean educational content based on minjung culture, a lecture structure was presented for the subject ‘Minjung culture and Korean proverbs.’ In particular, this course can be helpful as a model for developing K-MOOC courses for overseas Korean studies consumers by developing a structure on the premise of MOOC courses.

1. 들어가는 글

2. 한국 민중문화의 특질과 한국학 교육콘텐츠 개발 방향

3. 민중문화 기반 한국학 교육콘텐츠 개발의 배경과 사례

4. 나오는 글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