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한국상고사학보 제116호.jpg
KCI등재 학술저널

북한 신암리 유적 3지점 1문화층의 시간적 위치에 대한 고찰

A Review of the Temporal Location of the First Cultural Layer of Sinam-ri Site 3 in North Korea

압록강 유역의 신석기시대~청동기시대 편년은 신암리 유적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여러 논점 은 있지만 아직까지 청동기시대 시작은 신암리 유적 3지점 2문화층부터로 생각되었다. 보다 이른 신암리 1지점과 신암리 3지점 1문화층은 신석기시대 마지막 단계로 생각되었다. 그런데 신암리 1지점에서는 복잡한 뇌문이 그려진 호형토기와 고배형토기, 신암리3지점 1문화에서는 채색토기, 이중구연토기, 고배형토기 등 물질문화의 특징이다. 두 지점은 문화적 특징이 다른데, 압록강 유역과 인접한 지역의 문화를 비교하면, 두 지점 모두 신석기시대로 볼 수 없다. 신암리 1지점의 토기는 압록강 유역에서 용연리 유적에서 나타나며 인접한 요동지역 석불산 1기에 확인된다. 1지점 보다 빠른 유적인 쌍학리, 도봉리, 반궁리 유적에서는 이중구연세퇴문토기 가 출토되는데, 하요하 유역의 편보문화 토기와 비교할 수 있다. 신암리 3지점 1문화층 채색토기는 요동반도 남부의 청동기시대 가장 이른 문화인 쌍타자 문화 1기 에서 발견되는 것이다. 비슷한 토기가 한반도 진주 남강 평거동 이중구연토기가 출토되는 주거지에서도 확인되었다. 그래서 신암리 3지점 1문화층에서 보이는 채색토기는 청동기시대 토기 일 수 있다. 따라서 압록강 신석기시대 마지막 단계는 신암리 1지점과 용연리 유적이고, 청동기시대는 신암 리 3지점 1문화층부터 시작되었다고 볼 수 있다.

The transition from the Neolithic Age to the Bronze Age in the Amnok River basin was centered on the ruins of Sinam-ri. Until now, the beginning stage of the Bronze Age was thought to be the second cultural layer of Sinam-ri Historic Site 3. Earlier, the 1st branch of Sinam-ri and 3rd branch of Sinam-ri were thought to be the last stage of the Neolithic period in several studies. However, at the first point of the Sinam-ri site, jar-shaped earthenware with complex lightning patterns and curved plates without patterns are characterized, and colored earthenware, double rims-lips earthenware, and plates pottery with legs are excavated from the first cultural layer of the Sinam-ri ruins. Comparing the culture of the area adjacent to the Amnok River basin, neither point can be seen as the Neolithic Age. The earthenware at the site of Sinam-ri Site 1 appears in the Yongyeon-ri ruins in the Amnok River basin, and is confirmed in the culture of the first Seokbulsan Mountain in the adjacent Liaodong area. Double Guyeonse Tumun earthenware is excavated from the ruins of Ssanghak-ri, Dobong-ri, and Bangung-ri, which are faster than one point, compared to the Pianbao cultural earthenware in the Liaohe basin. The colored earthenware excavated from the first cultural layer of Sinam-ri Site 3 is the earthenware of one Bronze Age Shuangtuozi culture in the southern part of the Liaodong Peninsula. Similar earthenware was also identified in the residential area where double-grained earthenware in Pyeonggeo-don Namgang River, Jinju, was excavated on the Korean Peninsula. Therefore, the colored earthenware seen from the first cultural floor of Sinam-ri branch 3 may be Bronze Age earthenware. Therefore, the last stage of the Neolithic Age of the Amnok River can be the 1st site of Sinam-ri and Yongyeon-ri, and the Bronze Age culture can be considered from the the first cultural layer of the site of Sinam-ri 3.

Ⅰ. 머리말

Ⅱ. 선행연구 및 문제제기

Ⅲ. 압록강 유역의 신석기시대~청동기시대 유적 검토

Ⅳ. 신암리 3지점 1문화층의 시간적 위치

Ⅴ.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