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제46집 2권.jpg
KCI등재 학술저널

MZ세대 관련 국내언론보도에 대한 비정형 데이터 분석과 인사조직 분야에의 함의

Characteristics Analysis for the “MZ Generation” Using Text Mining Techniques: Implications for HR/Organization Fields

DOI : 10.36459/jom.2022.46.2.159
  • 1,549

본 연구는 오늘날 전 사회적으로 화두가 되고 있는 MZ세대에 대해 분석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먼저 MZ세대와 관련된 저서 및 논문, 기사 등 문헌연구를 통해 MZ세대특성들을 도출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한국언론진흥재단에서 제공하고 있는 빅카인즈(BigKinds)를활용하여 2019년 7월부터 2021년 8월까지의 뉴스기사들을 활용하여 비정형 텍스트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공략과 소통이 동시 출현 네트워크로 제시되었으며, 5가지 토픽으로 유형화되었다. 또한본 연구에서는 90년대생을 MZ세대 분석과 동일한 방식으로 비정형 데이터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분석결과, 청년과 평등이 동시 출현 네트워크로 제시되었고, 총 6가지 토픽으로 유형화되었다. 뿐만 아니라, 본 연구에서는 추가 분석으로 개인 소셜네트워크서비스(인스타그램, 네이버 블로그)와 해외언론(영국가디언지) 및 국외학술문헌(100개 논문)에 대한 워드클라우드 결과 역시 제시하였다. 이러한 분석 결과들을 바탕으로, 본 연구는 인사조직 분야에서의 함의점을 조직 공정성 이론을 기반으로 도출하였다. 결론에서는 본 연구가 가진 학문적·실무적 시사점 및 한계와 향후 연구방향에 대해 제시하였다.

This study is conducted to analyze the MZ generations characteristics as a key topic within the Korean society these days. To achieve this goal, this study explores the MZ generations characteristics by examining the previous studies including books, papers, and news articles. In addition, this study utilizes network analysis and text mining techniques to identify the main characteristics of the Millennial, or the “MZ” generation. Our analysis draws from a multiplicity of academic and journalistic literature including the Bigkinds database provided by the Korea Press Foundation, which creates a timeseries database from July 2019 to August 2021. The analytical results showed that ‘targeting’ and ‘communication’ were the outcomes of the co-currence network analysis, and five topics were suggested as significantly relevant for those born in this generation (1990’s). For text mining, when using the same methodology the keywords ‘youth’ and ‘justice’ were the results of this approach, as well as six topics which were deemed as significantly relevant. This study further visualizes the above analyses with word-clouds based on news articles from Korean and international sources such as personal social network services (instagram, Naver blog), foreign media(The Guardian), and international academic studies (100 papers). Based on our findings, this study suggests implications for HR/organization fields, particularly regarding the organizational justice theory.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as well as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are also discussed.

Ⅰ. 서론

Ⅱ. 선행문헌 검토

Ⅲ. 분석 방법

Ⅳ. 인사조직 분야의 함의

Ⅴ. 결론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