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63114.jpg
KCI등재 학술저널

유치원 입학관리시스템 ‘처음학교로'에 대한 사립유치원 원장의 인식과 경험

Study on private kindergarten principals' perception and experience with 'Go—first school'

  • 90

본 연구는 유치원 입학관리시스템 ‘처음학교로’에 대한 사립유치원 원장의 인식과 경험이 어떠한지 심층적으로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사립유치원 원장 7인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여 2021년 8월부터 10월까지 개별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처음학교로’에 대한 사립유치원 원장의 인식은 ‘주저함’에서 ‘받아들임’으로, ‘혼란함’에서 ‘익숙함’으로 전환이 일어났다. 둘째, ‘처음학교로’에 대한 사립유치원 원장의 경험은 긍정적인 측면과 어려움이 공존했다. 긍정적 경험은 유아모집의 절차와 서류가 이전에 비해 간소화되어 업무 부담이 경감된 점과 입학 대상 유아를 선발하는 과정의 공정성과 투명성이 확보되어 사립유치원에 대한 신뢰도가 상승한 점으로 나타났다. 한편, ‘처음학교로’의 도입 이후 발생한 어려움으로는 끝나지 않는 인원 충원의 과정과 유아모집에 대한 유치원의 자율성이 축소된 점이 있었다. 본 연구는 ‘처음학교로’가 전국의 모든 국·공·사립유치원에 의무 적용되고 있는 현시점에서 사립유치원 원장을 대상으로 ‘처음학교로’ 적용에 대한 인식과 경험이 어떠한지를 심층적으로 살펴보았다는 것에 의의가 있으며 ‘처음학교로’가 실효성 있는 제도로 정착하는 데 필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private kindergarten principals’perception and experience with “Go-first school”, an admission management system for kindergartens in South Korea. Seven private kindergarten principals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from August to October 2021.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first, the principals’ perception transformed from hesitation to acceptance and from confusion to familiarity. Second, their experience had positive aspects as well as difficulties. The positive experiences included simplified procedures and documentation as well as increased fairness and transparency in the admission process. On the other hand, the difficulties experienced since the introduction of the “Go-first school” system were related to the admission process and kindergartens’ reduced autonomy in this process. This study was meaningful in that it examined private kindergarten principals’ perception of and experience with the “Go-first school” system after it was made compulsory across all kindergartens in South Korea. In addition, it is hoped that this study can add to the literature necessary to establish an effective system.

I. 서론 II. 연구방법 III. 연구결과 IV. 논의 및 제언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