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2022-09.PNG
학술저널

조정제도의 합리적 운영을 위한 조정구조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Research on the Restructuring of Judicial Mediation System in Korea for Enhancing the Efficiency and Quality

적은 비용으로 신속하게 분쟁을 해결하고 국민의 권리구제에 대한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소송 이외의 다양한 대체적 분쟁해결 방안을 활용하는 것은 현대 사회에서 세계적인 현상이다. 그 가운데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제도는 조정으로, 우리나라에서는 특히 법원조정의역사가 깊고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최근에는 고난이도 소송사건의 증가로 인해 재판을통한 국민의 권리구제 지연이 심화되면서 소송사건과 연계된 법원조정의 역할이 확대될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그리고 재판공개 강화에 따라 개인정보 및 지식재산을 보호할 수 있는분쟁해결수단으로서의 조정에 대한 수요의 증가도 예상된다. 이러한 배경에서 법원은 각종 민사분쟁에 대해 소송과 조정이라는 분쟁해결수단을 효과적으로 제공하는 양문형 분쟁해결기구 즉, 더블도어 코트하우스(Double-door Courthouse) 로서 기능함으로써 국민의 권리구제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이러한 법원조정 기능강화의 당위성과 달리 법원 내에서 조정사무를 수행할 적절한 인적·물적 조직이 마련되어있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 조정제도 발전을 위한 법원의 오랜 노력에도 불구하고 법률상, 예산상 제약으로 임시방편적인 개선이 반복된 면이 없지 않고, 이는 법원조정의 구조를 모순되고 복잡하며 비효율적인 경로에 놓이게 하였다. 이로 인해 현재 법원조정의 운용은 조정담당판사라는 인적 요소에 전적으로 의존하고 있고 법원에 따라서는 그나마 온전히 조정을 전담하지 못한 채 부수적 업무로 취급받고 있어일관되고 지속적인 대국민 조정서비스 제공이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소송과 더불어 조정사무를 수행할 최소한의 물적 조직을 만들고, 이를 기반으로 연속성 있는 조정사무 처리를가능하게 하는 법원조정의 제도화가 필요하다. 현재의 조정센터를 체계적으로 법제화함으로써 국민의 분쟁해결서비스 접근권을 효과적이고 효율적으로 개선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재판의 공정성과 중립성을 지키는 방화벽을만들 수 있다. 개별 조정사건의 처리에서 나아가 조정행정 총괄 기구의 구성도 필요하다. 조정총괄센터를 통하여 조정센터와 법원의 유기적인 연결을 지원하는 업무 수행, 외부 조정기관의 발굴 및 재판절차와의 효과적인 연계 방안 마련, 대국민 홍보를 통한 조정 활성화와신뢰 구축, 충분한 조정사건 확보 방안의 제시, 조정위원의 위촉과 체계적인 관리 방안 마련, 조정기관 인증제 등을 통한 법원연계형 조정의 질적 개선, 각종 행정형·민간형 ADR의통합적 네트워크 구성과 그 효력에 대한 통일적 규율 방안 제시, 분쟁해결에서의 ODR의도입과 AI의 활용 등 다양한 기능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조정총괄센터는 위와 같은다양한 행정업무를 재판작용을 담당하는 소송법상의 법원으로부터 이격시키는 방화벽으로서의 기능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조정이 당사자의 자율적 합의에 의한 분쟁해결이라는 점과 이를 촉진하기 위한 절차라는특성을 고려하면 재판을 본질적 기능으로 하는 기관인 조직법상의 법원이 이를 담당할 필연적인 이유는 없다. 하지만 분쟁에 휩싸여 급히 그에 대한 적절한 해결절차를 원하는 당사자에게 다양한 민간형 조정을 담당하는 기관 중 적절한 기관을 스스로 찾아가기를 기대하기는어렵다. 당사자로서는 전국 각지에 설치되어 있고 모든 분야의 분쟁을 관할하는 법원을 찾아가 권리구제의 문을 두드리는 것이 편리하다. 우리 법원조정은 심판기능과 독립된 조정기능을 독자적으로 수행하고 법원의 재판사무와원활한 연계가 가능한, 효율적이고 전문적인 구조로 설계되어야 한다.

In order to resolve disputes swiftly at a low cost and also to increase the satisfaction of citizens with relief of rights, the utilization of various alternative dispute resolution methods other than litigation is becoming a global phenomenon in modern society. Among them, the most widely used system is “mediation,” and particularly in Korea the judicial mediation has a longer history and takes a greater role as well. Recently as delays in remedies through trial have escalated due to the increase in highly complex litigation cases, there is a growing need to expand the role of judicial mediation linked to litigation cases. Also, demand for mediation as a dispute resolution methods to protect personal information and intellectual property is expected to increase with the strengthening of open court proceedings. Against this backdrop, courts need to bolster the relief of citizens’ rights by functioning as the Double-Door Courthouse that effectively provides dispute resolution measures such as “litigation” and “mediation” for various civil disputes. Contrary to the indispensable necessity for strengthening the judicial mediation function, however, the reality is that there is hardly adequate human resources and organizational structure to fully carry out mediation affairs within courts. Despite courts’ long-standing efforts to develop the mediation system, extemporaneous measures for improvements have still been repeated due to legal restraints and budgetary limitations. These recurring problems have made the structure of judicial mediation to be placed on a path that is contradictory, complicated, and inefficient.As a result, the current judicial mediation operation is completely relying on mediation judges, solely as a human factor, and even some courts have inevitably treated it as an attendant task without taking full charge of mediation, consequently facing difficulties in terms of providing consistent and sustainable mediation services for citizen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t least a physical organization to carry out mediation in parallel with litigation, and based on this, further to institutionalize judicial mediation by empowering courts to manage the continued mediation affairs. Systemic legalization of the existing Mediation Center can effectively and efficiently enhance citizens’ right of access to dispute resolution services and thus create a firewall that protects the fairness and neutrality of trials. In addition to handling individual mediation cases, it is also necessary to organize a general agency for comprehensively administrating the mediation affairs. Through the general mediation center, various functions can be effectively performed, such as performing tasks that support the organic connection between the Mediation Center and courts; exploring external mediation agencies and preparing effective linkages with trial proceedings; activating mediation system and building trust through public relations; presenting methods to secure sufficient mediation cases; the appointment of mediators and providing systematic oversight plans; qualitative improvement of court-annexed mediation through a mediation agency certification system, etc.; the formation of an integrated network of various administrative and private ADR and the provision of a unified regulatory plan for its legal effects; the introduction of ODR in dispute resolution and the use of AI. The general mediation center can also plays a role as a firewall that separates the above-mentioned administrative tasks from courts that are intrinsically in charge of trials under the Civil Procedure Act. Considering that mediation is a dispute resolution by the parties’ autonomous agreement and the nature of the procedure to facilitate it, there would not be compelling reason for courts under the Court Organization Act, which are institutions with the integral function of adjudication, to be in charge of it. ...

제1장 서론

제2장 법원과 조정의 관계

제3장 각국의 법원조정

제4장 우리나라 법원조정의 구조와 현황

제5장 조정구조 개선안

제6장 결론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