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취업 청년층의 진로탄력성이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구직태도 및 구직행동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he Unemployed Youth Career Resilience on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Job Search attitude and Job Behaviors
- 한국진로창업경영학회
- 한국진로창업경영학회지
- 제6권 제2호
- : KCI등재후보
- 2022.05
- 47 - 72 (26 pages)
본 연구는 외부환경(코로나19) 변화로 미취업 청년층의 진로탄력성이 진로결정자기효능감, 구직 태도, 구직행동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 실증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수도권 거주 미취업 청년층 295 명을 대상으로 온라인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실증분석을 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미취업 청년층의 진로탄력성은 진로결정자기효능감, 구직태도 및 행동에 모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미취업 청년층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은 구직태도를 매개로 해서적극적인 구직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셋째, 미취업 청년층의 구직태도는 구직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그러나 미취업 청년층의 진로탄력성이 구직태도에 미치는 영향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구직행동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확인하지 못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코로나19와 같은 예기치 않은 노동시장의 내·외부 환경변화에 대응한 진로 및 취업준비에 필요한 주요 항목으로 진로탄력성임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진로탄력성을 기반으로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을 증진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 및 지원을 통해 긍정적 구직태도 개선 및 적극적인 구직행동을 촉진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이 적극적으로모색되어야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mpirically analyze the effects of career resilience on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job search attitude and behaviors for the unemployed youth job seekers to external enviornment change(COVID-19). This empirical analysis was conducted by the online survey targeting 295 young people living in the metropolitan area.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areer resilience of the youth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and active job search behavior. Second, the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of the youth had a significant effect on active job search behavior with job search attitude as a parameter. Third, the job search attitudes of the unemployed youth had a significant effect on active job search behavior. But, it was not confirm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ffect of career resilience on job search attitudes and the self-efficacy of career decision on active job search behavior. Through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career resilience is a key item necessary for career and job preparation in response to unexpected internal and external environmental changes in the labor market such as COVID-19.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ctively seek ways to improve job search attitudes and promote active job search behaviors through development and support of programs that can enhance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based on career resilience.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 연구
2-1. 진로탄력성
2-2.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2-3. 구직태도 및 구직행동
2-4. 선행연구
Ⅲ. 가설설정 및 연구방법
3-1. 연구가설
3-2. 연구대상
3-3. 연구설계 및 연구도구
3-4. 자료분석
IV. 연구결과
4-1. 신뢰성과 타당성 검증
4-2. 연구모형 분석
V. 결론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