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2022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jpg
학술대회자료

화재 통계 기반의 안전상태정보 구축데이터 검증

지난 연구에서 건축물대장을 사용하는 간편 안전상태정보 추론모델, 건축물 관리자 혹은 일반 사용자의 소방점검을 기반으로 하는 컴팩트 안전상태정보 추론모델, 소방 전문가의 소방점검을 기반으로 하는 상세안전상태정보 추론모델을 기반으로 건축물의 화재 안전상태정보를 생성하는 방법을 연구하였다. 전국 데이터의 구축이 가능한 간편 안전상태정보를 건축물대장 기반으로 화재안전도를 산출하고, 이를 ’11년도 ~ ‘20년도 화재 사고 통계자료를 비교 분석하였다. 업종별 화재 사고 발생 건수와 해당 업종 건축물 총 개수의 비율은 공업용(0.18%), 상업용(0.03%), 주거용(0.02%), 교육⋅사회용(0.01%) 순서이고, 화재 사고발생 건축물의 건물구조별 재산⋅인명 피해 평균은 블록 구조(18,639,139원, 0.23명), 기타 조적 구조(15,532,616원, 0.16명), 벽돌 구조(12,426,092원, 0.15명), 철근콘크리트 구조(11,183,482원, 0.05명) 순서이고, 건물 층수에 따른 평균 재산⋅인명 피해 평균은 지하시설(4,659,784원, 0.3명), 1층~2층(6,213,046원, 0.26명), 3층~4층(12,426,092원, 0.35명), 5층~16층(34,171,753원, 1.33명), 17층 이상(59,023,937원, 3.88명) 순서이며, 화재 사고발생 건축물의 노후도 비율은 30년 이상(28.4%), 20년~29년(21.27%), 10년~19년(22.73%), 10년 미만(22.27%)으로 집계되었다. 주요 결과로서, 간편 안전상태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평가요소인 업종, 건물구조, 건물 층수, 노후도의 세부항목의 화재위험도를 내림차순으로 정렬한 결과와 도출한 결과를 비교하였을 경우 업종은 공업용, 상업용, 주거용, 교육 및 사회용, 건물구조는 블록 구조, 기타 조적 구조, 벽돌 구조, 철근콘크리트 구조, 건물 층수는 17층이상, 5층~16층, 3층~4층, 1층~2층, 지하시설, 노후도는 30년 이상, 20년~29년, 10년~19년, 10년 미만의 순서로 업종, 건물 층수, 노후도의 경우 실제 화재 사고 유형 별 위험 요소 순서와 동일한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고, 건물구조는 일부 항목을 제외한 주요 요소에 있어 유의미한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건축물의 사전 화재안전도 평가를 활용하여 화재 감지⋅대응을 통한 인명 및 재산 피해 최소화 분야에 기여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