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2022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jpg
학술대회자료

도시형 생활주택의 화재발생 저감 기초 연구

Basic Research on the Urban Living Houses for Reduction of Fire Occurrences

  • 38

1~2인 가구의 증가와 초고령사회 진입 등 사회구조 변화함에 따라 도심 내 소형 주택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정부는 이와 같은 수요에 부응하기 위하여 2009년 2월 개정된 주택법에 따라 도시형 생활주택을 보급하기 시작하였다. 도시형 생활주택은 서울시 인허가 기준 2016년 77,698건, 2017년 68,123건, 2018년 47,288건, 2019년 41,161건으로 꾸준한 수요를 보여주고 있다. 도시형 생활주택은 단지형 연립주택, 단지형 다세대주택, 원룸형 총 3가지 종류로 구분된다. 소방 행정자료 및 통계에 따르면 2017년~2020년 발생한 화재 발생 건수의 평균 41,391건 사망자 2,397명, 피해액 6,314억에 달하고 있다. 이 중 단지형 연립주택과 단지형 다세대주택에서의 화재 발생 건수는 평균 1,582건, 사망자 23명, 피해액 약 48.5억 원으로 전체 화재 중 3.82%를 차지하고 있다. 도시형 생활주택은 주로 드라이비트 공법을 사용하여 건축하고 있다. 건물 외벽에 스티로폼을 붙인 후 그 위에 시멘트를 얇게 바르는 공법으로 공사비가 저렴하고 단열 효과가 우수하다는 특징으로 주로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화재 발생 시 초기 대응에 늦어지면 스티로폼 자체가 외벽을 타고 불꽃이 빠르게 타고 올라가는 가연적 특징을 가지고 있다. 2015년 5명의 사망자와 125명의 부상자를 낸 의정부 대봉그린아파트 역시 드라이비트 공법을 사용하여 지어진 건축물이다. 당시 1층 사륜 오토바이의 배선 합선으로 인하여 시작된 화재는 외벽을 타고 수직 방향으로 상승하여 큰 피해를 보게 되었다. 도시형 생활주택의 화재발생 저감을 위해서는 드라이비트 공법과 같은 외단열 공법의 경우, 비가연성 단열재의 적용이 필요하고, 도시형 생활주택의 경우 대부분 필로티 구조로 되어있어 1층 주차장에서 화재 발생시 피난로가 막혀 탈출을 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으며, 이로 인하여 인명 피해가 더욱 커지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피해를 막기 위하여 필로티 구조의 경우, 1층 주차장 스프링클러 설비 설치 의무화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