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생명연구 제64집.jpg
KCI등재 학술저널

학업 중단 청소년이 인식하는 진로 장벽이 자살 생각에 미치는 종단적 영향

Perceived Carrer Barriers and Suicidal Ideation among Adolescent School Dropouts

본 연구는 학업 중단 이후 청소년이 경험하는 진로 장벽과 자살 생각의 시간적 변화가 어떠한지, 그리고 진로 장벽이 자살 생각에 미치는 궤적을 규명하여 학업 중단 이후 성인으로 발달과정에 필요한 진로개발과 심리적 지원을 위한 실천 기반을 마련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연구를 위해 학업 중단 청소년 패널조사 2014년부터 2017년까지 250명의 자료를 활용하였다. 연구를 위해 SPSS 25.0 프로그램으로 기술통계분석을 수행하였으며, Amos 23.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학업 중단 청소년의 진로 장벽과 자살 생각에 대한 잠재성장모형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학업 중단 청소년이 인식하는 진로 장벽 인식과 자살 생각의 변화가 있었다. 또한, 학업 중단 청소년의 진로 장벽은 자살 생각에 유의미한 영향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학업 중단 이후 그들의 생애 발달 주기에 따른 진로 탐색과 경험 지원의 필요성, 그리고 그들에 대한 통합적 접근을 통해 자살 위험성을 감소시킬 수 있는 기반 마련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학업 중단 이후 그들의 건전한 사회 적응을 지원하는 체계마련의 필요성과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논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temporal changes in perceived career barriers and suicidal ideation and examine the impact of career barriers on suicidal ideation to establish practical guidelines for career development and psychological support required for adolescents’ development following their academic dropout. We used the data of 250 adolescents, who participated in the Adolescent School Dropouts Panel Survey, between 2014 and 2017.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5.0 and Amos 23.0 for computing descriptive statistics and a potential growth model for career barriers and suicidal ideation, respectively, among adolescent school dropouts. The analysis demonstrated a change in adolescent school dropouts’ perceptions of career barriers and suicidal ideation. Furthermore, adolescent school dropouts’ career barrier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suicidal ideation. These findings emphasize the need for an integrated approach to implement career support interventions for exploration and experience, alongside preventive measures to reduce the risk of suicide among adolescent school dropouts. Thus, the current study results prompt a discussion on the need to establish a social support system for adolescent school dropouts and their healthy integration into the society and provide future research recommendations.

Ⅰ. 서론

Ⅱ. 문헌고찰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