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피드 스케이팅 선수들의 외상 후 성장 과정 탐색
- 최근원 김민정 최나영
- 한국레저사이언스학회
- 한국레저사이언스학회지
- 제13권 제1호
- 등재여부 : KCI등재후보
- 2022.05
- 51 - 66 (16 pages)
본 연구는 코로나19라는 사회적 재난을 경험한 스피드 스케이팅 선수들의 심리적 변화를 현상학적 접근방법을 통해 탐색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의도적 표집방법 중 기준 표집을 사용하여, 조건을 충족시키는 5인을 선정하였다. 자료는 심층면담, 참여관찰, 현장 기록 등의 방법을 통하여 수집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Giorgi의 기술적 현상학 방법 4단계에 따라 분석하였다. 연구의 진실성을 위해 연구 참여자들에 의한 검토를 진행하였고, 자료를 검토하는 과정에서 삼각 검증법을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 결과 50개의 의미단위, 15개의 하위 구성요소가 도출되었고, 심리적 변화에 따른 상황적 구조 기술은 변화, 난관, 적응, 극복의 과정으로 도출되었다. 엘리트 스피드 스케이팅 선수들은 코로나19라는 외상으로부터 불안, 불만, 상실, 목표의식 상실 등 부정적인 심리를 장시간 경험하였지만, 침투적 반추를 거쳐 의도적 반추에 도달해 외상 후 성장을 이끌어낸 것으로 확인되었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psychological change of speed skating athletes who experienced the social disaster called COVID 19 Pandemic through phenomenology method. Researchers in the study targeted 5 athletes who met the conditions by using standard sampling among purposeful sampling method.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participatory observation and on-site records and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four steps of Giorgi’s technical phenomenology method. For the veracity of the study, a review was conducted by researchers and conducted triangulation method during the process of reviewing the data. As a result of data analysis, 50 sense group, 15 sub-components were drawn, and situational structure techniques of psychological changes were derived through the process of change, difficulty, adaption and overcome. Elite speed skating athletes went through prolonged negative psychologies such as anxiety, dissatisfaction, loss, and loss of sense of purpose from trauma caused by COVID-19, but it was confirmed that they had derived post-traumatic growth from intrusive rumination to deliberate rumination.
서론
연구방법
연구결과
논의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