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장애인 대상 외적 이미지메이킹에 관한 연구동향 분석

Literature Review on the External Image Making for Disabled Persons: Focused on Domestic Research

  • 51
[서비스HRD] 2022년 1권 1호.jpg

본 연구는 장애인 대상 외적 이미지메이킹에 관한 국내 연구의 동향을 파악하고, 연구에 대한 시사점과 향후 연구과제를 탐색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00년부터 2021년까지 최근 22년간 국내 학술지 및 학위논문을 수집하여 총 22편을 분석하였다. 기본적으로 전체 분석대상 문헌의 연구시기, 연구대상, 출판형태, 주제어, 연구 방법의 특성을 분석하였고, 이를 양적 연구, 질적 연구, 혼합연구로 세분화하여 각각의 연구 방법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장애인 대상 외적이미지메이킹에 관한 연구는 2000년 이후로 꾸준히 수행되고 있으며, 점점 증가하는 추세이기는 하나 그 빈도수가 높지 않았다. 연구대상은 주로 성인여성만을 대상으로 하는 경우가 많았으며, 연구 방법은 양적 연구와 혼합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었다. 그리고 주제어 중 ‘자아존중감’과 ‘여성 장애인’이 가장 자주 출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방법별 분석에서 양적 연구는 주로 관계분석이 가장 많았고, 질적 연구는 개발연구와 실천연구가 있었으며, 혼합연구는 실천연구 이후 양적 분석방법으로 효과성을 검증하는 방식이 가장 많이 활용되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시사점과 한계점, 향후 연구 방향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trends of domestic research on external image making for the disabled, and to explore implications for research and future research tasks. To this end, a total of 22 analyses were conducted for 22 years from 2000 to 2021. Basically,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search period, research subject, publication form, subject word, and research method of the entire analysis target literature were analyzed, and each research method was analyzed by subdividing them into quantitative, qualitative, and mixed studie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were as follows: Research on external image making for the disabled has been conducted steadily since 2000, and although it is an increasing trend, the frequency has not been high. In many cases, this study was mainly aimed at adult women, and the research and mixing quantitative research and research time were one week. And the 'self-esteem' and 'disabled women' of the central control center appear most often. In the analysis by research method, quantitative research mainly had the most relationship analysis, qualitative research had development research and practice research, and mixed research was most frequently used as a quantitative analysis method after practical research. Limitations based on research beyond current events and presentation of directions for future work.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