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국민대학교 한반도미래연구원 제6호.jpg
학술저널

일본 아시아주의 속의 독도의 위상과 전략

본 연구는 메이지 유신 이후 일본 대외정책의 기조인 아시아주의가 조선에 대한 인식과 독도 강제 편입조치에 어떻게 투사되어 나타났는지를 분석한다. 분석 결과, 일본의 독도 강제 편입조치는 동북아 지역에서 자국 중심의 새로운 국제체제를 구축하는 데 있어 가장 큰 위협 세력인 러시아의 남진을 봉쇄하고, 자국의 ‘이익선’으로 간주하던 한반도를 점령하기 위한 고도의 정치적 전략 속에서 진행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해 볼 때, 일본은 독도가 한국의 영토임을 알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독도에 대한 자국 영토 주장’을 중단하지 않은 채 다양한 방식으로 계속 되풀이해 나갈 것이다.

This study analyzes how Asianism, the basis of Japanese foreign policy after the Meiji Restoration, was projected onto Japan's perception of Joseon and the compulsory annexation of Dokdo. According to this study, Japan's compulsory annexation of Dokdo was carried out in two directions. First, Japan tried to block Russia's southward policy, the biggest threat in establishing a new international system centered on its own in Northeast Asia. Second, Japan forcibly annexed Dokdo in a highly political strategy to occupy the Korean Peninsula, which Japan regarded as its ‘line of interest’. Considering this, Japan will continue to assert Dokdo as its territory in various ways despite knowing that Dokdo is Korean territory.

Ⅰ. 서론

Ⅱ. 연구 동향과 분석 방법

Ⅲ. 일본의 제국주의적 침략 정책과 한반도

Ⅳ. 일본의 아시아주의와 해양 정책: 비교의 관점

Ⅴ. 결론

참고문헌

로딩중